포스코가 젊어졌다

입력 2002-03-16 12:16:00

15일 열린 포스코 주총의 특징은 올들어 전사적 구호로 등장한 '젊은 포스코'가 현실화 됐다는 점이다.

또 재계에서는 보수 기업의 대명사격인 포스코가 공격형 기업으로 전환을 모색하는 신호탄으로 보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선 본.계열사 임원들의 연령이 이번 주총을 계기로 4∼5세쯤 낮춰질 것으로 보인다. 현직 상임임원 중 최고참격인 박문수(59) 부사장이 용퇴하고 그 자리를 류경열(54) 전무가 맡았다.

또한 이날 포스코를 떠난 50대 중반의 상무급 임원들 대부분이 핵심 계열사 대표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계열사 주총이 열리는 오는 20, 21일 이틀간 고참 사장 4∼5명의 경영일선 퇴진이 확실시 되고 있다.이와 함께 임기만료되는 고참 임원들은 예외없이 물러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포철직원들은 "다른 재벌기업에서는 30대 임원, 40대 사장이 흔한 일이지만 포스코에서는 임원 나이가 3~4세 젊어지는 것만 해도 획기적인 일"이라는 반응이다. 정관변경을 통해 사명을포스코로 바꾼 것도 같은 맥락이다.

포스코는 여타 재벌들이 한창 CI(기업이미지 통합)작업을 할 때도 포항지역 정서를 고려해 '포항제철'이라는 다소 촌스런 이름을 고집해 왔는데 이번에 이를 과감하게 벗어던진 셈이다.

이번 주총에서는 '한번 임원은 영원한 임원' '포철 임원은 철밥그릇' 등 과거 공기업 시절의 산물인 임원 장기보직과 임기보장 등 인사관행을 '3년이하, 2년이하' 등 수시교체가 가능하도록 정관을 변경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또 포항 테크노파크 건설과 포스텍 기술투자 설립 등 포철을 비철강 분야로 눈돌리게 한 포항공대 이전영(48)교수를 신사업 개발담당 상무로 영입한 것은 사업영역 확장 가능성과 함께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새 인사정책 시도로 풀이된다.

다만 포스코의 이같은 인사.경영 혁신책이 경영층의 일방적 의지에 의해 밀어 붙이기식으로전개되고 있다는 일부 임직원들의 비판론을 상층부가 어떻게 포용할 지는 주총 이후 숙제로 남게 됐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