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스타일에 따라 세단, 리무진, 쿠페, 컨버터블, 하드 톱, 해치백, 왜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세단(Sedan)=미국식 승용차의 총칭. 영국에서는 설륜, 프랑스에서는 배를리느, 이탈리아에서는 베를리나, 독일에서는 리무진으로 부른다. 별다른 특징없이 주용도가 '타는 것'인 승용차를 통칭하며 '쏘나타' '옵티마' 'SM5' '매그너스' 등을 들 수 있다.
▲리무진(Limousine)=독일에서는 보통 승용차를 '리무진'으로 부르지만, 미국식으로 부를 때는 형태상 운전석과 뒷좌석 사이에 유리 칸막이를 단 VIP용 호화차를 말한다. '다이너스티 리무진' '체어맨 리무진' 등이 있다.
▲쿠페(Coupe)=뒷좌석 부분의 천장이 짧거나 경사져 있는 자동차를 총칭한다. 기능상으로는 앞좌석 중심으로 디자인한 차. 스포츠카 등이 전형적인 스타일이고 세단의 뒷부분을 개조해 만든 것도 있다. 트렁크가 있는 '노치드 쿠페'와 맨 뒷부분까지 천장으로 흐르는 '페스트백 쿠페'가 있다. 국내 차로는 '티뷰론'을 들 수 있다.
▲컨버터블(Convertible)=지붕이 철판이 아니고 접을 수 있는 철골 등에 헝겁이나 비닐을 입힌 구조로, 수동이나 전동으로 지붕을 열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소프트 톱' 또는 '바브리올레'로도 불리우며 '엘란'이 대표적이다.
▲하드 톱(Hard Top)=철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딱딱한 지붕을 가진 차량. 특징으로는 컨버터블의 자취가 남아서 가운데 기둥이 없고 옆창문도 완전히 열 수 있도록 돼 있다. '엔터프라이즈'가 대표적.
▲해치백(Hatchback)=세단이나 쿠페의 뒷부분에 뚜껑을 단 몸체형식의 승용차로, 다용도성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분위기를 내기 위해 칸으로 막고 트렁크를 쓴다. '엑셀 5DR'가 전형이다.
▲왜건(Wagon)=사람과 짐을 싣는 다용도의 몸체를 가진 보닛형 차를 말하며, '스테이션 왜건'으로도 부른다. 영국에서는 '예스터데이', 프랑스에서는 '브레이크', 독일에서는 '콤비'로 부른다. 세단의 몸체를 늘려서 나무결을 흉내낸 도장을 한 경우도 있으며, '아반테 투어링'을 예로 들 수 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