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부총재가 정당개혁을 내세워 이회창 총재를 비롯한 당 주류측에 정면으로 맞서면서 당내 갈등이 심각한 국면에 접어 들고 있다.
박 부총재는 이 총재가 국민참여경선제와 조기 집단지도체제 등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대선후보 경선 불참과 함께 향후 탈당도 가능함을 시사, 사실상 선전 포고를 했다.
박 부총재는 1일 열린 한나라당 국회의원·지구당 위원장 연찬회 도중 "정당개혁의 핵심사항인 국민경선 도입을 세몰이식으로 부정하려는 모임에는 더 이상 참여할 의미가 없다"면서 "이 총재 추대에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며 퇴장했다. 박 부총재는 연찬회가 당 주류측의 정당 개혁에 반대하는 '세과시'라고 보고 향후 선준위 참여를 거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어 박 부총재는 기자들을 만나 "이 총재에게 정당개혁을 계속 요구할 것"이라면서 "이 총재가 끝내 수용하지 않으면 경선 불참 여부를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조만간 이 총재는 정당개혁에 대한 결심을 해야 할 것"이라며 "이 문제를 이 총재가 해결하지 못하면 이 총재가 개혁대상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탈당 전망에 대해 "현재로선 얘기할 시점이 아니다"면서도 "이 총재가 계속 미지근하게 나올 경우 그대로 있지는 않을 것"이라며 탈당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박 부총재는 이와 관련, "최후통첩으로 봐도 무방하다"면서 "정치개혁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않으면 시민운동을 할 수도 있고 국민을 상대로 직접 나설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주류측 한 의원은 "박 부총재가 요구하는 수준의 국민참여경선제는 당 사정당 매우 어렵다"면서 "박 부총재가 탈당 수순을 밟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추측했다. "박 부총재가 정치적 영향력 확대를 위해 탈당을 염두에 두고 여론의 추이를 고려하면서 시나리오 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만약 박 부총재가 탈당한다면 무소속으로 남을 가능성과 최근 정계개편 움직임에 편승, 신당에 합류할 가능성을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그러나 박 부총재가 대선후 당권 장악을 위해 이 총재를 압박하고 있다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한편 이날 연찬회에서는 국민경선제 도입과 관련, 발언에 나선 이성헌·김홍신 의원 등 5명이 시대적 요구 등을 내세워 찬성 입장을 밝혔으나 16명이 경비 과다와 당원들의 반발 등을 이유로 반대했다.
박진홍기자 pjh@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