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정일 특검팀이 신승남 검찰총장의 친동생 승환씨를 알선수재혐의로 긴급체포한건 무혐의처분을내린 검찰수사를 완전히 뒤엎는 것이다.
사실 이용호씨가 기업합병전문회사에 문외한인 신 총장 동생을 사장자리에 앉힌 그 자체가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가는데다 검찰수사 당시에도 이 문제가 의혹으로 제기됐으나 검찰은 이용호씨와의 대질신문이나 주변정황에 대한 적극적인 수사도 하지않은채 신승환씨의 진술대로 성급하게 무혐의처분 해 버린게 특검수사에서 걸린 것이다.
문제는 특검팀이 승환씨를 알선수재혐의로 다루겠다는 것은 승환씨가 5천만원을 받은게 단순한 스카우트비용이 아니라 뭔가 그 대가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는데 있다.
또 그 돈을 받은 시점이 공교롭게도 신 총장이 차장에서 총장으로 승진한 바로 전날이라는 점도 특검팀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게다가 검찰수사에서는 전혀 드러나지도 않았고 수사도 하지 않았던 수억원의 금전거래가 승환씨와 이용호씨간에 이뤄진 정황을 포착한 것도 대가성인정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또 특검팀은 승환씨가 신 총장을 두번씩 만나 과연 어떤 얘기가 오갔으며 동생이 이씨로부터 돈받은 경위를 사전에 신 총장자신이 먼저 털어 놓았느냐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현직 검찰총장 동생신분 이외에뾰족한 능력이 없는 승환씨를 이씨가 스카우트 비용까지 줘가면서 고용했을땐 뭔가 그 역할을 바랐다는건 거의 상식이다. 특검팀은 바로 이 상식을 상식대로 풀어 들어가고 있다고 봐야 한다.
결국 특검팀의 구속영장청구나 그 동안의 수사상황은 검찰 수사를 완전히 뒤집으면서 '검찰수사에 100% 자신있다''특검에서 뭐가안나오면 야당이 책임져야 한다'는 신총장의 발언은 이제 그 빛을 잃고 있다.
그뿐 아니라 검찰비호 부문의 수사진전 여하에따라 신 총장의 입지를 점차 좁히고 있을뿐아니라 경우에 따라선 신 총장이 특검에 소환돼야할 상황도 배제 할 수 없다. 역시 특검은 필요하고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