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발생한 테러의 후유증이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 항공업계에 치명타를 가하면서 계속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항공산업 지원 방안을 긴급 모색하고 있으나보잉이 최고 3만명 감원 계획을 밝히고 세계 주요 민항사들도 속속 인력 감축을 선언하는 등 파장이 갈수록 커지고만 있다.
또 항공사 주식도 최고 50%나 폭락한 상황에서 이로 인한 자산 감소액만도 65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등 항공업계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테러 후유증이 관광업을 비롯한 세계경제 전반에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항공업계만 지원하는 것이 형평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 움직임들을 부분별로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미의회 민항업계 지원 모색: 25억-50억달러를 미 민항사들에 긴급 지원하는법안이 20일(이하 현지시간) 미하원에 제출될 예정이다. 입법을 주도하고 있는 텍사스주 출신 공화당의 톰 딜레이 의원은 법안에 항공사에 대한 긴급 대출도 추가돼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하원과 상원이 신속하게 입법에 나설 경우 금주말 조지 부시 대통령의 서명을 통해 법안이 발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항공사 지원 재원이 기존의 재정 흑자로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세금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올해 재정 흑자가 1천53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앞서 백악관 예산관리국이 밝힌 바 있다.
▲항공업계 당국지원 요청 강화: 미 민항업계 관계자들은 테러 후유증 등으로업계 재정이 심각하게 악화될 것이라면서 현추세로 가면 내년 6월 30일 기준으로 85억달러로 앞서 예상되던 흑자가 155억달러 적자로 반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델타 항공의 레오 뮬린 회장은 19일 미 의회에 출석해 항공사들이 당분간 소송에 휘말리지 않도록 당국이 지원해줄 것도 아울러 요청했다. 항공사들은 모두 240억달러에 달하는 일괄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미국의 군소 민간 공항들도 테러 후유증으로 타격받고 있다면서 민항업계에 대한 것과는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노먼 미네타 미 교통장관도 군소 공항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만들어 곧 의회에 제출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의회 일각에서는 테러 후유증이 항공업계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면서 "희생분담 원칙"이 유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항공기 메이커.민항사 감원 확산: 보잉이 항공업계 위축에 타격받아 상용기부문의 인력중 2만-3만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보잉의 돌연한 감원 발표는 올해 예상되는 항공기 인도가 538대에서 테러 발생후 500대 가량으로 감소된것과 때를 같이해 나왔다. 보잉측은 내년에 상황이 더 나빠져 인도 규모가 "400대를 조금 웃도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에어버스는 인력축소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좀 더 지켜볼 것"이라고 유보적인 자세를 취했다.
주요 항공사들의 감원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컨티넨털항공은 1만2천명 감원을 발표했으며 유에스항공도 1만1천명을 줄인다고 밝혔다. 이번 테러에 항공기가 이용된 유나이티드항공은 2만명 감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노스웨스트와 아메리칸항공도 20일중 감원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미 항공사 관계자들은 이런 식으로 가면 미국 민항사 인력 가운데 10만명이 일자리를 잃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럽 항공사들의 경영난도 가중되고 있다. 스위스항공은 주가가 40%나 폭락한 가운데 재정난 극복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네덜란드 항공사인 KLM은 테러의 여파로 북미 및 중동에 대한 취항을 5% 줄였다. 전세계에 7만명을 고용하고 있는 루프트한자도 감원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루프트한자는 이와 함께 보잉기 발주 계획 등도 유보했다.
영국의 브리티시에어, 버진 애틀랜틱과 브리티시 미들랜드 항공사들은 경영난 가중으로 감원이 불가피하다면서 영국 정부에 긴급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프랑스의 장-클로드 게이소 교통장관은 18일 에어프랑스 등 프랑스 항공업계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처럼 EU도 당국 차원에서 항공업계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