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보건복지부 장관이 콜레라의 발원지인 영천에 왔을 때, 누군가가 그에게 하던 보고는 참으로 충격적이었다. "너무 가난해 남의 음식을 얻어 먹다가 콜레라에 걸린 경우도 있는 것 같아 조사 중입니다".
진성환자로 판명됐다는 초교 4년생 ㄴ군(9) 집으로 달려갔다. 가족은 할아버지(84) 할머니(71)와 부모, 그리고 형제 다섯 등 9명. 그 중 어린 아이 둘을 제외한 7명이 정신.지체 장애인들이라고 했다. ㄴ군 외에도 셋이 더 의사 증세를 나타내 자녀가 넷이나 아파 누웠지만, ㄴ군의 어머니는 그것조차 잘 모르는듯 했다.
사는 모습은 말이 아니었다. 한 봉사자는 "어머니가 담갔다는 김치가 이상하기 그지 없더라"고 했다. 밥통에 상한 밥이 그냥 있길래 버렸더니 되찾아 가더라고도 했다. "고기는 요리할 줄을 몰라 못먹어 돼지갈비를 조리해 줘도 아이들이 잘 삼키지도 못하더라"는 얘기도 있었다.
한 이웃은 "봉사자들이 갖다 주는 멸치볶음.김치.조림류 외에는 된장찌개가 유일하다시피 한 이들 가족의 반찬"이라고 했다. ㄴ군은 4학년이지만 1년생 정도로 작고 말랐으며 얼굴에 핏기조차 없었다. 묻는 말의 의미조차 제대로 알아 듣지 못했다. 한 마을에 살며 33년째 이들을 돌본다는 먼 친척(67)은 "그나마 더 큰 병이 들지 않는 것만도 다행"이라고 혀를 찼다. 이들 가족은 쌀.반찬거리 사는 일조차 스스로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마을 구석진 곳에 있는 방 세칸짜리 슬레이트 집의 모습도 형언키 어려웠다. 여기저기 쓰레기가 널렸고, 잡동사니들이 가득 널린 방은 음습했다. 주방은 창고 같았으며 화장실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을 지경이었다. 물조차 제대로 안나와 겨울엔 다른 집에서 물을 길어다 쓴다고 했다.
먼 친척과 마을 사람들 외에는 '맑고 향기롭게 대구 모임' '대구.경북 포교사단 자원봉사팀' 회원들 등이 한달에 한번쯤 찾고 있었다. 봉사자 이옥연(여·29)씨는 "회원 10여명이 찾아 가 가족들을 목욕시키고 집안 청소.소독을 하며 간식을 만들어 주지만, 한달 후 찾아가 보면 또다시 아이들은 영양결핍이 돼 있다"며, "장애가 덜심한 아이 둘이라도 정상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도와 줄 방안이 필요하다"고 안타까와 했다.
그러나 당국은 한달에 108만원 주는 장애인 지원금으로 모든 관심을 끊은듯 했다. 콜레라 발생 후 영천의 각 마을을 방역 소독하고 있다고 당국은 주장했지만, 실제로 콜레라가 발생한 이 마을에는 지난 8일까지 소독 조치조차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영천·서종일기자 jiseo@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