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단행될 내각 개편때 민주당 의원들이 어느 정도로 입각할 지에 당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의원 입각 원칙이 정해지면, DJP공조 파기로 자민련 몫을 배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민주당 의원들의 입각폭이 종래보다 훨씬 커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당내에선 의원 입각을 전제로, 최고위원급에서 김근태 정동영 최고위원의 정보통신장관 기용 가능성이 거론된다.
김 위원의 경우 당내 '전자거래법령정비정책기획단'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점과 대선주자의 행정경험 쌓기 차원에서 하마평이 나오며, 정 위원은 16대 국회 출범 이후 일관되게 정보기술(IT) 분야를 천착해온 점 때문에 같은 자리에 하마평이 있다김 위원은 사회문화분야 장관 물망에도 오르며, 정 위원은 정풍파문이 부담이 되고 있으나 김 위원과 함께 당의 개혁정체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특히 한광옥 청와대비서실장이 5일 해임건의안 가결을 규탄하는 소장개혁파들의 농성장을 방문, '건강'에 대한 김 대통령의 걱정을 전달하고 국정쇄신에 관한 이들의 의견을 김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고 밝힌 것은 정 위원에 대한 김 대통령의 '정치적 사면'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자민련 출신 장관들의 퇴진으로 대신 영입파 의원이 혜택을 받는 게 아니냐는 기대도 영입파쪽에서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유용태 의원의 노동장관 입각, 한국노총 출신의 재선인 조성준 의원의 노동장관 입각설이 그것. 정통 내무관료 출신으로 영입파인 박종우 의원의 행정자치장관설도 나돈다.
4선이지만 비교적 당직운이 없었던 김덕규 의원의 행자장관설과, 추미애 당 지방자치위원장이 여성몫으로 행자장관에 발탁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밖에 중앙대 정보산업대학원장을 지낸 김효석 의원이 과기장관에 기용될 것이라는 하마평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