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철새도래지 파괴 우려를 낳고 있는 서대구 낙동강습지 일대의 한전 고압 송전선로 공사(본지 8월1일 31면 보도)를 알면서도 묵인한 것으로 드러나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특히 대구시는 시민단체와 환경전문가들의 잇따른 공사중단 요구에도 뒷짐을 지고 있다가 최근 공사가 끝난 뒤에서야 대책회의를 갖기로 해 뒷북행정이란 비난을 사고 있다.
대구시는 경북 고령군 다산변전소~대구시 달서구 강창변전소(16km) 사이 고압 송전선로 설치공사와 관련, 한전측이 철탑 위치변경 등을 이유로 지난 4월 협의를 요청해오자 이를 그대로 받아들여준 것으로 밝혀졌다. 더구나 한전측과의 협의 과정에서 이 일대에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대구시 실무부서는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또 지난달 시민단체들이 문희갑 시장에게 송전탑문제 해결을 요청하자 오는 8일 조류전문가·전기전문가들이 참석하는 대책회의를 열 예정이다.
하지만 한전측은 이미 공사를 마무리짓고 4일부터 성서공단을 비롯한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회의결과에 따라 인공구조물에 의한 조류피해를 밝히기 위한 용역사업을 시행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 유승원 회장은 "한전측이 파문이 커지자 예정 준공일인 10월 말보다 두달 가까이 공사를 앞당긴 의혹이 있다"며 "한전과 대구시는 환경파괴에 대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상헌기자 davai@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