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서열.순리 등을 무시한 인사가 경북도청에서 잇따라 말썽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내년 도지사 선거를 의식해 무리한 인사로 자충수를 둔다고 지적하고 특정 지역.종교.학교 출신.관련 우대설까지 제기하고 있으나, 도청 측은 발탁 인사라고 강변하면서 오히려 '상투적인 불만'이라 몰아 붙이고 있다.
도청은 지난 2월 있었던 정기인사 때 부이사관급 자리인 일부 국장급 직책에 서기관을 직무대리로 발령해 지금까지 근무시키고 있다. 부이사관으로 승진하려면 서기관 경력이 5년 이상 돼야 하나, 그런 적임자가 있는데도 무자격자를 직무대리로 발령했다는 것이다.
도청은 또 재목이 아니라는 평을 듣는 한 서기관을 그때 인사에서 한 요직으로 발령냈다가 또다른 말썽을 일으켜 중도 하차시키기도 했다. 지난 7일에는 구조조정 후속 인사를 하면서 청렴성이 절대 중요한 한 주요 부서로 모 직원을 내정했다가 저항에 부딪혀 슬그머니 보류시켰다.
또 근래에는 도청 돌아가는 것 전체를 알아야 직무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요직에 발령된 사람을 두고도 이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사람은 시청.군청에 근무하느라 진급이 빨랐을 뿐이어서 적임자가 아니라는 것.
이의근 지사와 도청 직장협의회는 인사와 관련해 다면평가제 도입, 인사기준 사전 예고 등에 합의했지만 이번 인사에서는 그 합의도 무시됐다고 해서 반발을 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상당수 직원들은 "연공서열, 발탁, 심지어 해당 직책 보임 기준 같은 것조차 원칙보다는 사람에 따라 바뀐다면 인사 결과에 누가 승복하겠느냐"고 했다.
정지화기자 jjhwa@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