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항공안전등급의 하향을 자초한 국내 항공사들이 국제노선의 수익성도 잘못 판단해 이른바 '안방 황금노선'을 외국 항공사들에게 내주고 있다.
대구공항의 경우 지난 봄부터 잇따라 운항을 개시한 국제노선의 탑승률이 평균 90% 수준에 육박해 수익노선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이들 대부분이 중국항공사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
이는 국내 항공사들이 대구지역의 해외항공 수요가 미미한 것으로 오판해 대구시와 상공인들이 요청해온 국제노선 개설을 외면한 데 반해 중국 항공사들은 정확한 예측을 바탕으로 발빠르게 대구 취항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비정기(전세기) 국제노선이 뜬 지난달 27일부터 20일 현재까지 왕복기준으로 대구공항 국제노선(정기 및 비정기)을 이용한 승객은 8천514명으로, 평균탑승률이 87%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대구공항 국내선의 평균탑승률 80%를 상회하고, 인천국제공항의 80~85%를 웃도는 것이다.
중국 동방항공이 올 4월부터 주 2회 운항하는 대구~상해 정기노선의 탑승률 경우 97.6%로 가장 높으며, 뒤늦게 뛰어들어 같은 노선에 주 1회 운항하는 아시아나항공은 82.3%, 주 2회인 중국 국제항공의 대구~청도노선이 81.2%에 이르고 있다. 대구~오사카노선(부산 경유)도 평균탑승객이 56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0명이상 늘었고, 총 12편중 2편이 노선 개설이후 처음으로 승객 100명을 넘어섰다.
지난달부터 뜨고 있는 비정기노선은 대구~방콕노선이 99.8%, 중국 국제항공이 운항한 대구~북경노선의 95.4%, 대항항공이 운항한 대구~북경노선은 79.4%, 중국 북방항공의 대구~심양노선이 69.9%의 탑승률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급증하는 대구의 해외승객 수요는 중국항공사가 독차지, 지난 한달 전체 국제노선 승객 8천514명중 중국항공사의 시장점유율이 60%를 차지했고, 특히 중국노선의 경우 전체이용객(6천564명)의 77%가 중국항공사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항공사들은 지난 한달동안에만 15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전문가들은 "중국항공사의 지역 해외항공시장 독점은 당장 외화유출을 불러오고, 장기적으로 서비스 질 저하까지 우려된다"며 "이를 막기 위해선 국내항공사들이 시급히 정기국제노선을 신·증설해 외국 항공사와 경쟁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