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불안한 노후건물 수두룩

입력 2001-08-09 12:22:00

재래시장내 낡은 상가와 다가구·다세대 민간건축물 등 20년 이상된 소규모 노후건물들이 안전점검 관리대상에서 제외된 채 방치돼 사고위험을 안고 있다.

특히 대구시와 각 구.군청에서는 재난관리법상 관리대상으로 지정된 대형건축물 및 다중이용 건축물에만 관심을 쏟을 뿐 소규모 노후건물은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소규모 민간건축물의 경우 자치단체가 안전점검에 손을 놓은 채 건물관리를 전적으로 영세한 건물주에게 떠넘기는 바람에 건물붕괴 등 참사의 불씨를 안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현재 대구시와 각 구.군청은 소규모 노후건축물 실태파악에 대한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내려오지 않은데다 예산 및 인력부족 등의 이유로 뒷짐을 지고 있는 실정. 이에 반해 서울시는 지난달 20년 이상된 노후건축물에 대한 실태파악을 끝내 대조를 이루고 있다.

남구청 한 관계자는 "구내에 오래된 건물들이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인력과 예산 문제 때문에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수성구청과 달서구청 관계자도 "소규모 건축물은 소유주가 따로 있기 때문에 관리는 해당 건물주가 맡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최근 서울에서 재래시장내 상가건물이 무너져 11명의 사상자를 낸 사고가 발생, 일단 붕괴 위험이 큰 건물이 있는지 파악하라고 일선 구.군청에 지시했다"며 "하지만 서울의 경우처럼 그렇게 무너질만한 건물은 대구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재난관리법상 관리대상으로 지정된 대구시내 건축물(대형건축물 및 다중이용건축물) 576개동에 대해선 월 1회이상의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어 건물붕괴 위험은 없다"고 덧붙였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