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이 지난해 10월 기준의 전망치 292만t에서 12% 감소(35만t)한 257만t으로 예측됐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합동조사단은 29일 올해 첫 북한곡물 및 식량 수급보고서를 통해 지난 6월 23일부터 7월 3일까지 현지 방문과 인공위성 촬영사진 관찰 등을 종합한 결과, 이같이 예측됐다고 밝혔다.
두 기구의 합동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북한의 곡물 생산은 정곡 기준으로 △쌀 109만8천t △옥수수 104만1천t △봄보리 7만9천t △기타 작물 6만5천t 등으로 추정됐다.
또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외부 도입 곡물은 △북한의 상업적 수입 1만5천200t △양여성 수입 53만6천300t(한국 50만t, 중국 3만6천t) △WFP, 외국 정부 및 비정부기구(NGO)의 인도적 지원 99만6천t 등이나 올 10월까지 전체 필요량(476만9천t )기준으로 부족량은 53만6천t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북한의 이같은 곡물 감산 예측은 올 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겨울밀, 봄보리, 감자 등 북한 이모작 작물의 생산량이 당초 예상치인 49만9천t에서 17만2천t으로 32만1천t 감소했고, 옥수수 등 가을철 작물의 수확도 2만9천t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