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운용 대한체육회장겸 국제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이 제8대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에 도전했으나 아쉽게도 좌절했다. 김 회장에 대한 전국민의 성원과 기대를 모은 이번 IOC위원장 선거는 백인들의 패권주의와 사마란치 현 위원장의 자크 로게 지원 등의 막후 영향력 행사로 김 회장의 세 불리가 예고됐었다. 한국인 올림픽 위원장 출현에 대한 우리의 희망을 접게돼 참으로 안타깝다.
김 회장의 그동안의 한국체육발전이나 국위선양 공헌 등을 잊지 못한다. 성공적으로 치러졌다는 평가를 받은 88년 서울올림픽의 역할을 기억하고 있다. 86년 IOC위원 피선이후 한국의 IOC위원 자리가 더 늘어났고 국제경기총연합회(GAISF) 회장을 8번이나 연임하는 등 국제스포츠계에서 한국체육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영향력을 확대한 역할은 찬사를 받아 마땅하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국기(國技)인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도록 한 공로는 국민들이 잊지 못한다.
비록 낙선했으나 모스크바 제112차 IOC총회 위원장 선거는 한국인이 처음으로 위원장 선거에 후보로 나서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표차는 크게 벌어졌지만 조직적 흑색선전이 난무하고 유럽중심주의 등 걸림돌속에 최선을 다한 김 회장에게 격려를 보낸다.
김 회장이 앞으로도 국내체육과 국제스포츠사회에서 적절한 역할을 기대한다. 지금까지도 그리했듯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제3세계의 스포츠 리더 역할 등으로 세계체육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국민들은 바란다.
우리는 김 회장의 낙선이 가져다 줄 국내체육계의 변화에도 주목하고 있다. 김 회장이 대한체육회 회장에서 물러날 경우 그 자리에 권노갑 민주당고문과 최재승 민주당의원이 거론되고 있다고 한다. 체육회장직은 경기인 출신이 마땅한 자리다. 정치인이 과연 체육인들의 박수속에 업무수행이 가능할는지 의문이 간다. 김 회장처럼 국제무대에서도 통할 체육인재 양성은 우리 모두의 책무다. 멀리 내다보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