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든 멀찌감치 통한다는길 옆
주막
그
수없이 입술이 닿은
이 빠진 낡은 사발에
나도 입술을 댄다
여기
대대로 슬픈 路程(노정)이 집산하고
알맞은 자리, 저만치
威儀(위의) 있는 송덕비 위로
맵고도 쓴 시간이 흘러가고….
세월이여!
소금보다 짜다는
인생을 안주하여
주막을 나서면,
노을 비낀 길은
가없이 길고 가늘더라
-김용호 '주막에서'
인생을 길에 비유한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학의 한 전형이다. 이승에서의 삶을 여정 중의 주막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전생에서 후생으로 이어지는 중에 잠시 머물다가는 이생,
주막에서 이 빠진 낡은 사발에 입술을 대는 것처럼 나도 누군가가 살았던 그 삶을 고스란히 걸어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 삶에서 문득 아버지의 인생을 느끼는 것도 그러하다. 이태백은 술 마시는 자의 이름만 청사에 길이 남는다고 한 바 있지만 인생을 주막에 비유한 시인의 상상력이 통쾌하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