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 노인의 여가'주제 토론회

입력 2001-06-30 15:01: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갈수록 증가하는 노인인구. 하지만 노인문제는 언제나 '남의 문제'다. 게다가 행정기관이나 일반인들의 눈길이 이따금씩 쏠리는 노인들은 양로원 등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 다른 가족들과 함께 집에서 생활하는 '재가(在家)노인'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다.

지난 27일 오후 대구문예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재가노인의 여가 및 보호 무엇이 문제인가(주최 사회복지개발연구원·한국사회복지학회)'라는 주제의 토론회는 이같은 세태를 꼬집어보고 새로운 길을 모색한 시간이었다.

대다수 발제자들의 공통적 의견은 지금부터라도 노인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 집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에 대한 보호 프로그램과 시설을 늘리고 국가는 물론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관심이 집중돼야한다는 논지였다.

최성재(서울대 사회복지학)교수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총인구의 7%∼14%에 이르러 '고령화사회'라 불리고 있지만 향후 20년내에 14%∼21%에 도달,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교수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기간이 24년에서 115년이었지만 우리나라는 이 기간이 22년에 불과, 세계적으로 최단기간내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라는 것이다.

최교수는 이같은 고령사회가 이미 현실로 다가왔지만 우리나라 재가노인들은 여전히 TV나 보고 라디오나 듣는 기초적 수준의 여가활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노인복지회관 확충 등 여가시설 개선작업을 서둘러야한다고 지적했다.

최교수는 이와 관련, 국가의 관심도 늘려야 하지만 복지수준의 증대를 위해서는 민간부분의 참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태영(대구대 사회복지학)교수는 노인여가시설 확충기준과 관련, 최소 인구 25만∼30만명당 1곳의 노인복지관이 설립·운영되어야 한다고 전제하고 상담·보건·의료·취미·후생기능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취업알선 등 다양한 프로그램설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교수는 또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노인복지관은 예산부족으로 운영상 문제점이 많다며 국고보조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날 토론회 주최측은 토론회 결과가 지방정부의 정책수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구시의회 의원을 초청, 함께 토론을 벌였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