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 AFP, 지지통신 등 주요 외신과 요미우리 등 신문들은 29일 국세청이 6개 언론사들을 검찰에 고발한 것과 관련 한국내에서 언론탄압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 사건은 언론사주의 구속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국세청의 언론사 고발소식을 보도하면서 "검찰의 수사요청에 따라 일부 언론 사주들이 구속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AP는 또한 "한국에서는 지난 1994년에 처음으로 언론사에 대한 세무사찰이 이루어져 일부 언론사의 세금 회피 사실이 드러났으나 당시 한국정부는 구체적인 액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고 보도했다.AFP통신도 "한국정부가 세금을 포탈한 언론사 사주에 대해 제재를 가하기 시작했다"고 전하고 고발된 신문사들이 국세청이 주장하는 혐의를 부인, 법정에서 시비를 가리겠다고 말한 것으로 보도했다.
일본의 지지(時事)통신은 '한국 주요 언론 탈세혐의로 고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국세청에 의해 고발당한 언론사와 야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정부 조치가 언론탄압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이번 사건으로 언론과 정부간의 대립이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교도(共同)통신도 "고발된 6개사는 모두 신문사이며 조선, 동아, 중앙은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커 '빅3'로 불린다"고 보도했다.
스위스의 프랑스어 일간지 '르 탕'은 지난 28일자 서울발 기사에서 언론사 세무조사를 둘러싼 한국의 일부 언론사와 정부간의 갈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한국언론사와 정부간의 전쟁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르 탕'은 지난 1월 10일 김대중 대통령이 연두 연설을 통해 언론개혁의지를 밝힌 이후 공정거래위원회가 언론사들에 대해 대규모 조사에 들어갔다고 전하고 "(세무조사)의 실제 목적은 재벌의 언론사 지배를 종식시키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또 "언론사를 대그룹의 영향권으로부터 떼어놓으려는 의지는 그 자체로서는 비난받을만한 일이 아니지만 이 과정에서 김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반대세력을 겨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세무조사가 정권지지율이 떨어지고 언론의 정권비판이 강화된 시기에 시작돼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많다"고 보도했다.
외신종합=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