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르포-포항 신항 건설 하나 안하나

입력 2001-06-27 00: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0년 뒤(2011년)로 잡혔던 포항 신항만 완공 기한이 아스라이 멀어지고 있다. 1차 사업부터 이미 계획보다 2년여 늦어졌다. 부산 가덕도 신항, 목포 신항이 착착 진행돼 올해 착공되는 것과는 너무도 대조적.

◇무엇이 문제인가?=새 항구를 만들려면 여러가지 공사가 함께 진행돼야 하지만 핵심이랄 수 있는 선박 접안시설 건설부터가 확 뒤틀려 버렸다. 해양수산부는 9선석 규모의 1단계 시설을 민간자본으로 2003년 말 준공한다는 계획 아래 사업자를 모집, 1998년 4월 현대건설 등 9개사 컨소시엄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지정했었다. 투자액은 5천억원 정도.

그러나 컨소시엄 주간사인 현대건설이 자금난 때문에 작년 말에 사업을 포기했다. 2년여에 걸친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간 것.

이에 해수부는 9선석 중 컨테이너용 4선석만 민자로 만들고, 시멘트·목재 등 잡화 부두 5선석은 정부가 부담해 건설키로 계획을 변경, 지난 4월10일 다시 민자 사업자 모집공고를 냈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국내 건설사들로서는 많은 재원을 투자하기 쉽잖으리라는 판단 때문이다. 4선석 민간 투자 규모는 2천300억원 정도이다.

제출 기한은 다음달 9일. 하지만 이마저 시원찮아 해수부 민자계획과는 기한을 다시 3개월 정도 연장할 것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개발 등 몇몇 업체에서 의향을 보이고는 있으나 적극적으로 달려드는 업체가 없다는 것. 이렇게 되면 잘 해야 내년 상반기에나 우선 협상대상자 지정 절차나마 진행될 수 있을 지경이다. 거기다 최종 협상까지는 또 산 넘어 산.

◇정부 투자에도 제동=민간자본 유치 부진과 달리 정부는 작년 말까지 어업권 보상액을 포함해 1천756억원을 투자했다. 올해도 573억원을 투입할 예정. 덕분에 올 연말 준공 예정인 대체어항 공사는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그러나 감사원이 작년 말 제동을 걸고 나왔다. 선박을 댈 부두 민간 공사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데 다른 일에 미리 돈을 많이 넣는 것은 낭비가 아니냐는 것. 그 결과, "내년부터는 정부 자금 투입을 줄이라"고 올 연초 해양수산부에 요구했다.

그 위력은 금방 나타나 내년 정부 투자분의 대폭 감소가 명확해졌다. 지역 해양수산청이 내년에 427억원을 넣어야겠다고 요청했으나 해수부가 202억원으로 깎아 자체 예산안을 초안 잡은 것.

이런 가운데 새로 정부가 건설을 떠맡기로 한 잡화 부두 5선석에 대해서는 해수부 항만개발과가 내년에 기본설계를 맡기기로 하고 15억원의 경비를 예산 수립 때 배정해 달라고 요청해 놓고 있다. 이 예산이 제대로 반영되면 정부 건설분이나마 2003년 하반기쯤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관계자는 말한다.

◇앞으로는?=10년 뒤 완공은 이제 완전히 불가능해졌다. 포항 해양수산청 관계자는 "항만 공사는 계획대로 진행돼도 몇년씩 늦어지기 일쑤인데 아직 민자 사업자조차 선정하지 못했으니 앞날이 암울하다"고 했다.

이렇게 되자 비난이 정부로도 쏠리고 있다. 북방 교역 및 대구·경북 산업 거점 항만을 만든다는 구호만 요란했을 뿐 민간자본 의존 규모를 5천억원으로 너무 많이 잡았다는 것이 그 첫째 이유. 포항시청 관계자도 "지금처럼 처음부터 4선석만 민자 사업으로 잡았더라면 부두공사가 벌써 착수됐을 것"이라고 했다.

영일만 신항은 준공되면 3만t급 선박 23척이 동시 접안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설계 당시 잡았던 총 건설비는 정부 부담 6천891억원, 민자 6천517억원 등 1조3천408억원. 그러나 여건이 자꾸 바뀌니 최소 2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부두가 167만평, 배후지역이 165만평 개발된다. 어항 축조공사는 1996년 12월 말, 북방파제 공사는 97년 8월 착공됐었다.

포항·최윤채기자 cy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