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이 100일 이상 계속된 뒤 경북도내 식수난 인구가 1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경북도청은 13일 현재 도내 식수 부족 인구는 13개 시.군 194개 마을 2만9천362가구의 9만3천756명이라고 집계했다. 지난 1일에는 6개 시.군1만4천452가구 4만9천613명이었다.
안동 길안면 금곡리 12가구(30명)에는 지난 11일부터 급수 사정이 격일제로 악화됐다. 영양읍 9개 마을 2천338가구(7천400명), 경주 양남면 신서리 14가구(38명)에는 물이 하루 2시간밖에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의성 봉양면(886가구), 경주 천북면 오야리(47가구), 문경읍 지곡2리 등 문경 6개지구(259가구), 군위 소보면 평호리(21가구)의 급수 시간도 하루 3~4시간에 불과하다.
또 운반 급수로 지탱하는 곳도 12개 시.군 65개마을 1천45가구(3천682명)에 이르며, 이들에게는 하루 147t씩 공급되고 있다. 영양군 석보면 답곡1리 45가구(132명)는 지난 5일부터 하루 8t을 공급받고 있으며, 안동시 임동면 망천1리, 예안면 인계.신남.삼계리, 도산면 선양리, 문경시 산북면 가곡.전두리, 청송군 진보면 후평2리, 영양군 청기면 기포리, 영덕군 축산면 기암2리, 예천군 용문면 내지1리, 울진군 평해읍 오곡1리 등 13개 마을 201가구 주민 590여명도 열흘 넘게 물을 운반 급수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논밭 피해 면적도 갈수록 증가해 모내기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 3천328ha, 모 낸 뒤 말라붙은 논이 2천22ha, 밭작물 피해가 2천347ha등 7천697ha가 한해를 입고 있고, 피해 면적은 하루 1천ha 이상씩 늘고 있다.
12일 현재 안동댐 수위(138.1m, 저수율 32.1%)는 19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임하댐도 수위가 139.95m(25.5%)로 떨어져 6년만의 최저수준을 보이고 있다.
정지화기자 jjhwa@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