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위반 신고보상금제 시행 이후 신고가 폭주하면서 보상금 지급이 지연, 전문적발꾼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더욱이 빚까지 내 고가의 촬영장비를 마련한 경우는 제때 빚조차 갚지 못해 낭패를 당하는 촌극까지 일어나고 있다.
실직자인 안모(37.대구시 서구 중리동)씨는 지난 달 '쉽게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주위의 얘기에 솔깃해, 신용카드로 300만원을 빌려 외제 카메라(80만원)와 망원렌즈(200만원)를 장만했다. 안씨는 '한 달만 잘하면 본전을 뽑을 수 있다'고 기대해 두달동안 열심히 단속촬영을 했지만 지금껏 손에 쥔 돈은 50여만원. 경찰서마다 신고가 폭주하면서 처리기한이 늦어져 당초 1개월이라던 보상금 지급기일이 계속 늦어졌기 때문이다. 안씨는 "필름값, 현상비, 기름값 등을 제외하면 식대조차 빠지지 않아 카메라를 40만원에 되팔았다"며 "카드빚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고 말았다"며 씁쓰레했다.
최근들어 대구시내 경찰서마다 하루 500~600건가량의 신고가 쏟아지면서 보상금 지급이 2, 3개월 이상 늦어지고 운전자들의 불만때문에 경찰이 신고 자제를 권유할 정도여서 전문적발꾼들이 별로 재미를 못보고 있다.
김모(33.대구시 수성구 지산동)씨 경우 지난 달 교통위반신고를 직업으로 삼았지만 목돈을 만지겠다던 계획이 틀어져 '폐업'을 고민 중이다. 하루 1백장씩 촬영한 것 중 60~70%가 보상금 지급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 김씨는 "심지어 사채를 빌려 뒤늦게 이 일에 뛰어든 사람은 쓴맛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지사 관계자는 "시민참여하에 교통문화를 개선한다는 본래 취지에 어긋나게 신고자체를 직업으로 삼는 부작용이 적지않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