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수 전 법무장관 경질 파동으로 불거진 여권내부 갈등이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과 청와대의 안 장관 추천 책임론 공방에 이어 당내 소장파 의원들이 인책론을 제기하며 당정 쇄신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소장파 의원들의 반발은 특히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가 문책론 논의 종결을 선언한 이후에 나온 것이어서 '항명' 또는 '반란'수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같은 반발은 당장 25일 김중권 대표의 방중단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박상규 사무총장과 전용학 대변인이 당 내분 수습을 위해 방문단에서 빠지는 등 혼선을 가져왔다.
소장파들의 반발은 조직적으로 이뤄진 흔적이 역력하다. 김태홍.정범구.정장선 의원 등 이날 오후 성명서를 발표한 소장파 의원들은 이미 이날 아침 여의도 한 호텔에서 모임을 갖고 집단행동을 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가 진화에 나서는 바람에 다소 주춤했으나 이날 오후 결행한 것이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국가 인사정책이 공적 시스템이 아닌 소위 비공식 라인에 의존한다면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심각한 장애가 될 것"이라며 인사정책 틀의 전면 쇄신을 요구했다. 이들이 지목한 비공식 라인은 당내 동교동계로 알려졌다.
소장파들의 반발에 당 지도부는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김 대표는 곧바로 주요 당직자들과 구수회의를 갖고 파문 차단에 나섰다. 전 대변인은 회의 후 "이 시점에서 이같은 문제제기가 사태의 조기수습과 당을 위해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김 대표도 "(소장파 의원들이)왜 사전에 나와 상의를 하지 않았는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지도부의 진화노력에도 불구, '바른정치모임' 재선의원들이 금명간 모임을 갖고 행동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긴박감을 더하고 있다.
김 대표도 이날 방중길에 올랐지만 착잡한 심경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이날 출국에 앞서 "방중기간 동안 당내, 당정간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돌아오는대로 대통령에게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