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수 법무장관이 임명된지 43시간만에 경질된 사태는 현 정권 핵심부의 국정운영 능력에 대한 회의와 함께 김대중 대통령의 인재 판단능력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안 장관의 기용은 여권 내부에서도 의외라는 평가가 나왔듯이 여러가지 무리가 많은 인사였다. 평검사 출신으로 『오랫동안 검찰을 떠나있던 인사가 검찰조직을 제대로 장악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은 물론 『사정기관 호남 독식론을 희석하기 위한 들러리 세우기』라는 혹평도 쏟아졌다.
이같은 무리한 인사가 나오게 된 근본적 원인은 중요한 자리에는 믿을 만한 사람, 특히 충성심있는 인사를 우선 앉힌다는 김 대통령 특유의 인재등용 기준이다. 김 대통령의 이같은 인사스타일은 신승남 검찰총장 내정자를 비롯, 한광옥 비서실장, 이무영 경찰청장, 안정남 국세청장, 신건 국정원장 등 이른바 힘있는 자리에는 모두 김 대통령 자신의 최측근이나 호남출신이 차지하고 있는데서 잘 드러난다.
이같은 내사람 심기는 김 대통령이 옷로비 사건으로 현 정권에 엄청난 부담을 안겨줬던 김태정 전 법무장관을 싸고 돈 것이나 부평 대우자동차 노조원 폭력진압사태로 이 경찰청장에 쏟아진 노동계의 퇴진요구를 묵살했던 것처럼 여론의 요구를 무시하는 아집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충성심 때문에 발탁된 사람이 능력이라는 또 하나의 조건을 항상 만족시키지 못한다는데 있다. 결국 소수정권으로 가뜩이나 인재풀이 협소한 상황에서 김 대통령의 이같은 인사스타일은 이번 안 장관 사태와 같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인재 발탁시 추전에서 검증, 그리고 낙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공조직 보다는 비선조직에 더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번 안 장관의 발탁에 대해 청와대에서조차 누가 천거했는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법무장관 후보를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할 신광옥 민정수석은 안 장관의 입각 사실 발표 전날까지도 법무장관이 바뀐다는 사실 조차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안 장관을 추천한 사람이 누구냐를 놓고 당과 청와대가 책임소재를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는 것 자체가 바로 공조직의 기능 상실을 반증하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비서조직에 기댐으로써 인사 보안은 유지할 수 있겠지만 제대로 된 검증은 불가능해질 수 밖에 없다.
김 대통령이 인사 실수를 야기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DJP공조에 따른 내각 나눠먹기를 지적하는 사람도 많다. 총리와 산자.건교부 장관 등 몇몇 자리는 자민련 몫으로 안그래도 좁은 김 대통령의 운신의 폭을 더욱 좁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이번 안 장관 사태는 김 대통령의 인사 방식이 한계에 왔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사스타일의 근본적 변화를 꾀하지 않고서는 이번과 같은 사고는 언제든 다시 터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