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육 정보화·선진화를 내세워 전국 초·중·고교에 컴퓨터를 보급했으나 유해사이트 접속을 막기 위한 장치가 없어 학교가 인터넷 유해 사이트 사각지대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특히 정부가 올 하반기부터 PC방 등에 대해 음란·인명경시 사이트 접속차단 프로그램 설치의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비해 학교 내 컴퓨터 등에 대해서는 차단을 권유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24일 오후 달서구 모 초교 컴퓨터 실습실에서는 음란, 엽기 등 유해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유해 사이트에 쉽게 접속할 수 있었다.
중구 모 중학교의 경우도 교사가 자체 실험한 결과 청소년들이 즐겨 찾는 음란사이트 등이 차단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달서구 모 중학교 정보교육 담당 교사는 "학교에서 유해 사이트를 접속하는 학생들이 많지는 않지만 일찍 등교하거나 방과 후 또는 점심시간을 이용, 접속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항상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한 관계자는 "대부분 학교에 무료 배포된 PC용 차단 소프트웨어나 보안용 방화벽(fire wall)은 차단 범위에 한계가 있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아 하루에도 수천개씩 새로 생겨나는 사이트를 감당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구시 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안에 모든 학교에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유해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계획"이라며 "정보윤리에 대한 교사용 지침서를 10월쯤에 배포, 지속적인 정보윤리지도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98년부터 전국 1만여 초·중·고교 컴퓨터 실습실과 교실 및 교사에게 100만대에 가까운 컴퓨터를 보급했으며 대구도 370여개 학교에 3만9천여대의 컴퓨터가 보급됐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