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관할하에 있는 지방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올 1/4분기중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봉투값 등 지방공공요금은 작년말에 비해 3.4%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9%를 크게 웃돌았다.
중앙 공공요금은 담뱃값, 자동차보험료 등이 올랐지만 전체적으로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지난 91~2000년에도 중앙 공공요금이 연 평균 3.5% 인상된 데 비해 지방 공공요금은 10.1%나 인상됐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는 평균 5% 상승했다.
이밖에 의료보험수가는 같은 기간 평균 6.7% 올랐으며 올들어서 3월까지는 9.9%상승했다.
재경부는 이처럼 공공요금 중에서도 지방 공공요금의 급등이 물가불안의 주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올 상반기는 억제, 하반기는 최소화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