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이후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9일 LG경제연구원은 가계부실지수가 작년 3분기 6.2에서 바닥을 찍은 후 급등세로 돌아서 올 1분기에 6.9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가계부실지수란 가계부문 부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가계의 부채 원리금 부담정도와 채무상환능력, 실업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만들어진 수치다.
연구원은 최근 급격한 가계부실 심화는 가계부채가 크게 늘어난 반면 금융자산가치 하락 및 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부채상환 능력이 약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가계대출 잔액의 경우 금융기관들이 BIS 자기자본비율 산정에 유리하고 안정성이 높다는 이유로 기업보다 가계대상 대출을 선호하고 가계의 수요 역시 증가해, 지난해 말에는 전년보다 24.8% 늘어난 238조2천억원에 달했다.
특히 은행들의 가계대출은 지난 1월에는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달 다시 1조5천억원 증가세로 돌아섰다.
부채규모 확대는 직접적으로 이자부담으로 이어져 지난해 가계전체의 이자지급부담금액은 39조9천200억원으로 가구별로 이자로만 연 269만원을 지불한 셈이었다.또 부채부담은 늘어난 반면 부채상환 능력은 감소, 주가와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라 자산/부채비율은 지난 98년말 249.7%에서 지난해 242.5%로 감소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가계부문 부실 증가는 결국 경기회복 지연 및 금융기관 불안정성 증가와 소비자 파산 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