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지은 역사교과서 왜곡 내용

입력 2001-04-04 15:12:00

◈사실과 왜곡내용

▷임나일본부

(4세기 후반 일본 야마토 왜군이 한반도 남부에 진출해 백제 신라가야를 지배했으며 특히 가야에는 일본부(日本府)라는 기관을 두어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했다는 설.'일본서기'에서는 자주 언급되지만 한국 기록에는 전혀 나타나지않아 존재 여부가 의심됨)

-야마토조정은 반도 남부의 임나(가라)라는 지역에 거점을 구축한 것으로 생각된다.

▷강화도사건 및 한일보호조약

(1875년 일본 군함의 불법적인 강화도 침입으로 발생한 조선군과 일본군의 충돌사건.일본은 오히려 침입을 한국의 책임으로 몰아 1876년 대일문호개방을 골자로 하는 보호조약 체결)

-한편 이에 앞서 일본군함이 조선의 강화도에서 측량하는 등 시위행동을 하였기 때문에 조선의 군대와 교전한사건(강화도 사건,1875년)을 계기로 일본은 재차 조선에 국교수립을 강하게 몰아붙였다.그결과 1876년 일조수호조규가 맺어졌다.이는 조선측에 불평등한 조약이었으나 오랜 현안이었던 조선과의 국교가 수립됐다.

▷조선반도와 일본의 안전보장

-배후지가 없는 섬나라 일본은 자국의 방위가 곤란해진다고 생각했다.

▷한일합방

(1905년 을사조약 체결로 한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에 들어간 일본이 1910년강압적으로 합병조약을 체결해 식민화 침략을 완성한 사건.조선총독부의 한반도 지배는 무단통치(1910~1919), 문화정치(1919~1931), 전시동원(1931~1945) 등 3기로 구분)

-1910년(메이지 43년) 일본은 무력을 배경으로 한국내의 반대를 누르고 병합을 단행했다(한국병합).한국국내에서는 일부에서 병합을 수용하자는 목소리도 있었으나, 민족의 독립상실에 대한 격렬한 저항이 일어나 그후에도 독립회복의 운동이 끈질기게 이뤄졌다.한국병합후 일본은 식민지화한 조선에 철도 관개시설을 정비하는 등의 개발을 하고, 토지조사를 실시했다.그러나 이 토지조사사업에 의해 경작지에서 쫓겨난 농민도 적지 않았고, 또한 일본어교육 등 동화정책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조선사람들은 일본에 대한 반감을 강화하였다.

▷3.1운동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공원에서 수천명의 지식인과 학생 등이 모인 가운데 독립선포를 했으며 이후 조선 전역과 만주 미주 일본 등지로 독립선언운동 확산.전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

-조선에서는 1919년3월1일, 구(舊)국왕의 장례식에 모인 지식인들이 서울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사람들이'독립만세'를 외치며 데모행진을 함으로써 이 독립운동은 순식간에 조선전역으로 퍼져나갔다(3.1독립운동).조

▷간토(關東)대지진

(1923년 일본 간토 지방에서 일어난 대지진과 이에 따라 발생한 한국인 학살사건.일본정부는 계엄령 선포를 위해'한국인들이 혼란을 조장한다'는 유언비어 살포.일본 군경과 자경단에 의해 2천∼6천명의 한국인 피살)

-1923년 9월 1일에는 관동지방에 대지진이 일어나 도쿄, 요코하마 등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고 약 70만호가 피해를 보았으며 사망자 행방불명자가 10만명을 넘었다(관동대지진).이런 혼란중에서 조선인 및 사회주의자 사이에 불온한 책동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 자경단 등이 사회주의자 및 조선인 중국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전쟁목적

(1941년 조선 만주 대만을 전진기지로 중국본토와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 등 침략, 아시아 대륙의 식민지화)

-그러나 대동아 공영권하에서는 일본어교육, 신사참배가 강요되어 현지인의 반발이 강해졌다.또한 전황이 악화되면서 일본군에 의해 현지인들이 가혹한 노동에 종사당하게 되는 경우도 자주 일어났다…패전후 일본은 이런 국가들에 배상을 실시했다.그리고 대동아공영권 구상도 일본의 전쟁이나 아시아의 점령을 정당화하기 위해 내세워진 것이라고 비판받았다.

▷강제연행 및 황민화정책

(1941년 미국이 참전, 전황이 악화되자 조선 중국 베트남 등에서 전쟁에 강제로 동원하고 민족정신 말살)

-이러한 징용이나 징병 등은 식민지에서도 행해져 조선이나 대만의 다수의 사람들이 여러 가지 희생이나 고통을 강요당하게됐다.그 외에도 다수의 조선인과 점령하의 중국인이 일본의 광산 등에 끌려가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동에 종사했다.또한 조선이나 대만에서는 일본인으로 동화시키려는 황민화정책이 강화되어 일본식 이름 사용 등이 추진됐다.

◈문제점과 논쟁부분

▷종군위안부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성적노예가 된 아시아 여성)

-언급 없음

▷삼국조공 주장

(일본과의 교류를 위해 일본에 파견된 문화사절단)

-고구려가 돌연 야마토정권에 접근하고 이어 신라와 백제가 일본에 조공을 바쳤다▷한중일의 현실인식

-중국 조선 양국은 문관이 지배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열강의 위협에 대하여 충분한 대응을 하지못했다는 생각도 있다.

▷조선의 군제개혁

(외세 배격과 자주권 확립을 위해 국왕친위대를 설치하고 상비군을 신설하는 등 군사조직의 근대화 단행)

-수정 없이 통과(조선의 군제개혁 지원이 조선의 근대화와 독립을 위한 것으로 기술)

▷한일합병

-상당 부분 수정했으나 한국 내에 한일합병을 수용하자는 목소리도 있었다는 점과 조선에 철도 관개시설 등의 '개발'을 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일본 내에 뿌리 깊은 '식민지 시혜론' 주장을 일부 수용.

▷태평양전쟁의 피해자 입장부각

(전쟁을 발발시킨 가해자라는 사실 대신 피해사실만을 강조)

-1944년(쇼와 19년) 가을부터 미군의 일본공습이 개시됐다.1945년 3월 미군은 B29폭격기 편대로 도쿄의 강동지구를 공습하여 약 10만명의 사망자가 나왔다(도쿄 대공습), 미군은 나아가 인구가 많은 순으로 전국의 도시를 불살랐다.(일본 자신이 식민지에 준 피해기술보다 상세히 기술)

▷아시아국가와 일본

(아시아국가 대부분은 자치 혹은 독립 추진)

이러한 지역에서는 전전(戰前)부터 독립을 위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그가운데 일본군의 남방진출은 아시아국가들의 독립을 앞당기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