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이태수 논설위원

입력 2001-03-20 14:28:00

'산업 재해'라는 말이 낯설지 않아 진지는 오래다. 1987년 이래 사회 민주화에 힘입어 이 문제는 봇물 터지듯 드러났다. 경제 성장의 이면엔 많은 노동자의 희생이 따랐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산업 재해 문제는 다시 악화의 길을 걷는 느낌이다. '회사가 망할 판인데 건강은 무엇이고, 안전은 무엇이냐'는 분위기 때문이기도 하다.

▲IMF 체제 이후 직업 환경 변화로 직장인들이 과로와 업무상 스트레스 등에 시달리면서 '스트레스성 직업병'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1997년 이후 지난해 11월 현재 직업병으로 죽은 사람은 2천945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뇌혈관이나 심장 질환으로 사망한 경우가 전체의 53%인 1천547명이며, 신체 부담 작업·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자도 1년 사이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한 뇌·심장 관계 질환은 98년 이후 2년 사이 2배 이상이나 늘어났다. 이들 사망자 중에는 건물·창고 관리직 등 용역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근무 환경 악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 준다. 또 계속적인 단순반복 작업으로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돼 '죽음에 이르는 병'을 피하지 못하는 근로자들도 급증하는 추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확한 실태 파악이나 예방책은 초보 단계에도 못미치고 있어 실제로는 이보다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봐야 한다. 노동부는 이 점을 인식하면서 전문의를 전국 지방노동청의 근로감독관으로 채용하고, 공중보건의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근무시키는 방안도 마련하는 중이라지만 한심하기 그지없다. 이 조치와 함께 근로자 스스로도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성 직업병은 결코 노동자 소수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생산과 유통·서비스가 이뤄지는 모든 산업현장의 노동자들이 이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더구나 그 가족까지 염두에 둔다면 노동자의 건강은 곧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이윤 추구에 급급한 현실에서 노동자의 건강을 지키는 일은 정부와 노동자 스스로가 먼저 감당해야겠지만 기업들의 인식의 전환도 따라야만 할 때가 아닐까.

이태수 논설위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