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운동권 대학생들의 반미(反美)운동의 상징이었던 미문화원 건물의 보존과 철거를 두고 부산시와 해당 중구민들의 논란이 한창이다.
부산시는 지난 99년 미국으로부터 돌려받은 부산시 중구 대청동 옛 아메리칸센터(미문화원)를 활용하기 위해 시문화재로 지정 예고하고 역사문화관으로 영구 보존키로 했다.
그러나 중구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옛 아메리칸센터 활용 중구추진위원회'는 시지정문화재 및 문화재 보호구역 지정을 반대하며 건물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시지정문화재로 지정될 경우 건물 외곽경계로부터 500m이내의 건축·건설 등 개발행위때 사전협의를 거쳐야 하는 등 주민재산권을 침해하고 지역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법적·물리적 대응도 불사할 것임을 밝혔다.
그러나 시는 이 건물이 근·현대 한국사에서 외세지배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을뿐 아니라 건축사적으로도 국내의 서구양식이 도입되던 당시의 경향을 알 수 있는 등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주민들은 근대 건축 양식을 찾을 수 없고 식민통치와 외세지배의 치욕의 낡은 껍데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건물을 철거, 복합상가 형태로 개발, 쇠퇴해가는 지역상권을 살릴 수 있도록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메리칸센터는 오는 4월이면 미국으로부터 반환받은 지 2년이 되지만 활용방안과 관련한 시와 주민들의 대립으로 방치되고 있다.
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