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민주당, 자민련, 민국당 등 소위 3당 정책연합 문제가 사실상의 합의단계에 들어감으로써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는 등 정계의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아직은 민국당 내의 반발도 남아있고 공조의 형태도 정책연합인지 일본식의 연정(聯政)인지 확정된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정계 구도가 바뀐다는 점에서 중대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소수 여당에서 다수 여당으로 수(數)의 우위를 확보 할 수 있다거나 지금의 DJ대 반DJ 구도에서 이회창 대 반이회창구도로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소위 신 3김 연합구도가 내년의 대선으로까지 이어진다면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우리는 3당이 연합을 하거나 연정을 하거나 관여할 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3당 정책연합이 민주주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처럼 수(數)의 정치를 노리고 한 과반수 확보 책략이거나 "소수파는 힘을 합치지 않으면 나라를 이끌어 갈 수 없다"는 논리에서 출발했다면 당연히 이는 잘못된 출발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민주주의의 요체는 대화와 타협이다. 그런데 과반수 확보에 열을 올리는 것은 지금까지의 여당 행태로 볼 때 바로 이 원칙을 지키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여러번 지적되었고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강한 여당, 강한 정부라는 것은 수의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니고 국민의 지지와 원칙의 준수에 있는 것이다. 이는 강한 정부로 성공을 거둔 바 있는 레이건 전 미국대통령이나 대처 전 영국총리의 전례로 입증된 것이 아닌가. 그리고 대화와 타협의 전형으로는 소수여당으로도 정책을 훌륭히 수행한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의 전례도 있지 않은가.
그리고 이러한 구상들이 정계개편을 위한 전초전이라거나 개헌을 위한 수순이라면 이는 분명 부도덕한 것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바로 정권재창출만을 염두에 둔 정책대결 등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정계개편이나 개헌은 국민적 합의과정을 거쳐야 한다.
더욱이 이번 3당 정책연합 시도를 놓고 영남권 교두보 운운하는 것 자체가 영남인을 모독하는 것이다. 어느 정치인 한 사람의 움직임에 영남인들이 모두 정치적 성향을 바꾸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느 한 사람의 법적 관용을 위해서라거나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면 더더욱 안 된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