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채 파동' 이후 투신권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다시 유입되고 있다. 주식시장 회복세 및 금리하향 추세 등에 따라 은행권 자금이 증시로 흘러가거나 투신권의 채권형, 주식형 등 간접투자상품으로 몰리고 있는 것. 최근 투신권에서 판매중인 신상품을 중심으로 간접투자상품의 특징을 알아본다.
▲ 공사채형 상품
현재 판매 중인 채권형 상품은 모두가 시가평가 펀드. 시가평가 채권형 상품은 운용실적이 투명하게 공시되며 현재 실현수익률은 당초 제시했던 수준을 웃돌고 있다는 게 투신권의 설명. 투자기간에 따라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MMF, 단기공사채, 중기공사채, 장기공사채로 구분돼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 하이일드·후순위채(CBO)펀드
1년전부터 판매된 상품으로 예상보다 높은 수익이 실현돼 요즘도 인기가 높다. 공모주 및 CBO 편입 여부, CBO 편입비율 등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 관심을 끄는 고수익공모주 뉴하이일드형 경우 회사채 및 기업어음에 60% 이상, 공모주에 30% 이하 등으로 투자 운용된다. 공모주를 편입하지 않고 CBO에 60%까지 투자, 확정금리에 가깝게 운용하는 상품도 있다.
▲ 확정금리상품
대표적인 것이 신탁형과 RP(환매조건부채권)이다.
확정수익률은 9일 기준 신탁형은 기간에 따라 연 4.9~8.0%, RP는 연 7.0~8.0%선. 연령층이 높거나 공사채 펀드의 시가평가제에 대한 불안감 또는 주식형을 회피하는 고객들이 많이 가입하고 있다.
▲ 주식형 상품
신상품의 판매가 활발하나 전체적인 수탁고는 증가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주식형에 가입,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환매를 하기 때문.
- 스폿펀드
지난해 연말 또는 연초에 설정된 펀드가 목표수익을 달성함에 따라 신상품들이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고객 스스로 목표수익 및 최소손실을 지정하고 지정수익률이 달성될 경우 펀드는 상환되지 않고 해당고객의 투자금액만 자동환매되는 상품이 새로 등장, 관심을 끌고 있다.
- 엄브렐러펀드
랩어카운트형 종합자산관리 펀드로 투자자의 성향에 따른 펀드선택이 가능, 적극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다.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한 4개 펀드(MMF, 채권투자신탁, 안정혼합투자신탁, 주식투자신탁)로 구성됐으며 최초가입, 전환 및 출금은 고객이 자유롭게 결정하고 주가 또는 금리변동에 따라 펀드간 전환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고 손실을 회피할 수 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도움말:이상보 한국투자신탁 대구지점 부지점장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