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금강산에서 열리고 있는 남북 제3차 적십자 회담이 첫날에 첫 서신교환 등 3개항의 합의를 이루는 등 일단 산뜻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이번 회담의 주의제인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문제를 협의하게 될 30일 회담에서 양측이 어떤 합의를 이끌어내느냐에 회담 전체의 순항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일단 29일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1차 회의에서 ▲3월15일 이산가족 300명 서신교환 ▲2월26-28일 제3차 이산가족 방문단(100명)교환 ▲2월23일 제2차 생사.주소확인 100명 명단교환 등에 합의했다. 이같은 합의는 북측이 종전과 달리 남측의 제의를 순순히 받아들이면서 이뤄졌다. 김정일 위원장의 '신사고론'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날 합의만으로 회담을 낙관하기에는 이르다. 이날 합의내용은 이미 지난해 12월 4차 장관급회담에서 합의됐던 사안을 재확인 하는 것으로 난제들은 여전하다.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문제를 비롯 북측이 새로 제기한 장기수와 그 가족의 추가송환문제등이 걸림돌이다.
면회소 설치장소와 관련, 양측 대표들은 첫날 남측의 판문점안과 북측의 금강산안이 팽팽히 맞섰다.
2차 회의에서 남측은 고령의 이산가족들의 편의를 위해 판문점에 면회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북측의 대승적 결단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측은 첫날 남측제의를 수용한데 따른 반대급부로 금강산안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북측이 첫날 합의에 순순히 응한 것을 두고 남측은 장기수 추가송환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전략차원이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회담이 종전 관행을 되풀이할 지 여부는 북측의 태도를 좀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