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든 의약품 거래에 메스

입력 2001-01-30 08: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시내 대형 종합병원 의사 1천여명이 특정제약회사의 의약품을 채택하는 조건으로 25억원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가 드러나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경찰청은 지난해 10월이후 외국계 제약사 H , M사와 국내 유명제약사 D, H, C, 또다른 H사 등 모두 6개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인 결과 이들 제약사로부터 서울시내 대부분의 종합병원 의사들에게 최고 수천만원에서 수십만원의 리베이트가 건네진 단서를 포착, 이들 의사 및 제약회사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조사에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건은 조사대상에 대학병원 교수와 서울시내의 웬만한 종합병원 의사들이 대부분 포함된 데다, 의약분업 관련 법안이 국회 계류중인 상황에서 불거져 사회적으로 큰 파문이 예상된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 6개사는 자사의 약품을 사용해 주는 대가로 의사들에게 골프접대나 학회 참가비, 연수비 등을 지원해주는 등 98년부터 최근까지 50여개 병원의 의사 1천여명에게 25억원 상당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리베이트 수수 관행은 의약분업이 실시된 지난해 7월 이후에도 계속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다음달 중 500만원 이상을 받은 의사들부터 소환, 조사하고 비리가 확인될 경우 제약회사 관계자와 의사들을 모두 배임증 수재 등의 혐의로 사법처리하는 한편 해당 의사들의 명단을 보건복지부에 통보할 방침이다.

조사결과 리베이트 제공은 국내 업체들보다 외국 업체들이 액수면에서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업체의 경우 H사가 99년 3월부터 작년 10월31일까지 7천만원 상당을 대학병원 의사 70여명에게 제공하는 등 4개사가 모두 537명에게 9억8천800여만원을 썼으나 외국계는 M, H사 등 2개사가 각각 10억원과 5억원을 700여명에게 리베이트 명목으로 제공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의 수사초점이 주로 대형 종합병원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상위제약사에 집중된 점으로 미뤄 제약사의 리베이트 비리보다는 의약분업 실시에 반발하는 의료계 압박용이라는 시각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