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與 커넥션 규명 난관 봉착

입력 2001-01-08 15:04:00

안기부 선거자금 불법지원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핵심관련자인 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의원의 소환불응으로 난관에 직면했다.

김기섭(金己燮) 전 안기부 운영차장과 황명수(黃明秀) 전의원의 잇단 구속으로 수사성과를 올렸던 검찰은 95년 12월부터 안기부 지원자금으로 추정되는 비자금 200억원을 직접 관리하면서 96년 4.11 총선 당시 신한국당 의원들에게 배분한 것으로 드러난 강 의원이 소환에 불응하면 '안기부-신한국당 커넥션' 규명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수사관계자는 "강 의원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계속 소환에 불응하면 다른 수단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며 강제구인 방침을 내비쳤다.

거액의 안기부 자금이 총선직전 신한국당에 입금됐고 당시 사무총장 겸 선대본부장이던 강 의원이 이중 일부로 추정되는 200억원을 관리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강의원에 대한 조사 없이는 청와대와 신한국당 고위간부 등 구여권 실세들의 개입여부를 밝혀내기 어렵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인 듯하다.

이에 따라 검찰은 강 의원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강제구인에 나서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지만 한나라당이 '방탄국회'로 맞설 것이 분명해 효과는 미지수다.여기에 강 의원 이외 구여권 실세 중 한나라당 현역의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도 '당의 방침'을 이유로 역시 검찰소환에 불응할 뜻을 내비치고 있는 점도 검찰을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검찰은 계좌추적 결과 신한국당에 지원된 선거자금 중 수억원을 받은 일부 한나라당 의원과 95년 6.27 지방선거 당시 민자당 당직자 중 사무총장을 맡았던 김덕룡(金德龍) 의원 등에 대한 조사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들 역시 검찰소환에 불응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소환에 불응하는 강 의원 등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한편 그간의 계좌추적 및 김 전 안기부 차장 등 관련자에 대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권영해(權寧海) 전 안기부장과 이원종(李源宗)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먼저 소환,조사하는 쪽으로 수사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들에 대한 조사에서 안기부 선거자금 불법지원을 주도한 '구여권 커넥션'을 규명할 단서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신병이 확보된 김 전 안기부 차장이 구속수감된 이후에도 '모든 것은 내책임과 판단에 따라 했다'는 취지로 주장하고 있는데다 권 전 안기부장이나 이 전수석 등도 벌써부터 '아는 바 없다'는 입장이어서 이들을 추궁할 만한 결정적 단서확보없이는 기대치이상의 수사성과를 거두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