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밑 정국을 뒤흔든 '의원 꿔주기' 파문이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의 '공동정권 임무완수' 선언과 함께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꼼수정치'라는 거센 비난과 자민련 강창희 부총재의 '브레이크'로 교섭단체 구성은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외형상 DJP공조복원을 이뤘다는 점에서 일단 봉합의 길을 열어 놓았다. 파문의 축을 이뤘던 주요 인사들의 득실을 따져본다
◇득(得)=자민련의 교섭단체 숙원을 온 몸으로 막은 강창희 부총재의 이미지는 크게 업그레이드됐다. "오늘 살고 내일 죽을 순 없다"며 교섭단체 날인을 끝내 거부, "야합과 당리당략이 판치는 정치권에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자민련이 강 부총재를 제명키로 결의하자 인기가 더욱 급상승했다.
민주당 이인제 최고위원도 득을 봤다. DJP공조복원이 충청권에서 자민련과 공생의 길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JP와의 대결을 완화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적 의원 3인 중 2명이 이 위원 계보에 속한다는 점에서 이들이 자민련내 '이인제 대세론'을 불어넣는 매개역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失)=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는 타격을 받았다.의원 이적 파문으로 충청권 민심이 등을 돌린데다가 강 부총재의 교섭단체 날인거부로 정치력 축소를 가시화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잇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 소장파 의원들이 강 부총재 제명이라는 당 지도부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결국 김 명예총재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점에서 당장은 의원 이적 파문의 최대 피해자가 된 것으로 보인다.이적 의원 3인방(배기운.송석찬.송영진)은 "님을 위한 충정으로 민주당을 떠난다"며 야심차게 자민련 이적을 결행했으나 뜻하지 않은 강 부총재의 반란으로 멋적게 됐다. 교섭단체 구성도 이뤄내지 못했고 총선민심을 저버렸다는 질타와 함께 안팎으로 '원적복귀' 여론에 시달려야 했다. DJP공조가 성과를 얻지못할 경우 향후 정치생명마저 보장받지 못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태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