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이적파문' 득과 실-강창희이미지 '업' JP정치력 '다운'

입력 2001-01-06 15:06:00

세밑 정국을 뒤흔든 '의원 꿔주기' 파문이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의 '공동정권 임무완수' 선언과 함께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꼼수정치'라는 거센 비난과 자민련 강창희 부총재의 '브레이크'로 교섭단체 구성은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외형상 DJP공조복원을 이뤘다는 점에서 일단 봉합의 길을 열어 놓았다. 파문의 축을 이뤘던 주요 인사들의 득실을 따져본다

◇득(得)=자민련의 교섭단체 숙원을 온 몸으로 막은 강창희 부총재의 이미지는 크게 업그레이드됐다. "오늘 살고 내일 죽을 순 없다"며 교섭단체 날인을 끝내 거부, "야합과 당리당략이 판치는 정치권에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자민련이 강 부총재를 제명키로 결의하자 인기가 더욱 급상승했다.

민주당 이인제 최고위원도 득을 봤다. DJP공조복원이 충청권에서 자민련과 공생의 길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JP와의 대결을 완화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적 의원 3인 중 2명이 이 위원 계보에 속한다는 점에서 이들이 자민련내 '이인제 대세론'을 불어넣는 매개역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失)=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는 타격을 받았다.의원 이적 파문으로 충청권 민심이 등을 돌린데다가 강 부총재의 교섭단체 날인거부로 정치력 축소를 가시화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잇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부 소장파 의원들이 강 부총재 제명이라는 당 지도부 결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결국 김 명예총재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점에서 당장은 의원 이적 파문의 최대 피해자가 된 것으로 보인다.이적 의원 3인방(배기운.송석찬.송영진)은 "님을 위한 충정으로 민주당을 떠난다"며 야심차게 자민련 이적을 결행했으나 뜻하지 않은 강 부총재의 반란으로 멋적게 됐다. 교섭단체 구성도 이뤄내지 못했고 총선민심을 저버렸다는 질타와 함께 안팎으로 '원적복귀' 여론에 시달려야 했다. DJP공조가 성과를 얻지못할 경우 향후 정치생명마저 보장받지 못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태완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