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은 얼마 전 미국에서 학위를 받고 귀국했다. 그러나 국내에서 강의를 맡기가 어렵고 교수자리를 엄두도 못낼 처지라 차라리 미국으로 돌아갈 생각까지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교수하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대학사회의 모교 출신만 선호하는 풍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대는 모교출신 비율이 90%를 넘고 유명대학들도 기본적으로 60~70%씩 된다.
그러나 남편과 내가 본 미국은 안그랬다.
미국 대학들 본교 출신 교수 비율은 많아야 10% 안팎이었다. 하버드대는 1910년대에 전체교수의 70%가 모교 출신이었으나 그후 계속 줄어 지금은 10% 안팎이라고 한다. 그나마 스탠퍼드는 모교 출신이 아예 없다시피한 걸로 유명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 모교출신 임용 축소를 교수사회나 학교에 맡기면 백년하청일 것이다. 따라서 이걸 안 지킬 경우 정부지원 예산을 삭감하고 대학 입학 정원을 동결시키는 강력한 정책을 써야 한다.
또는 박사과정을 마친 후 일정기간 타 대학에 근무한 뒤에야 모교에 올 수 있는 분교 초임제한제도 같은 거라도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교수사회의 패거리 문화가 하루빨리 사라지길 간절히 바란다.
손혜정(대구시 중리동)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