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국정개혁 구상의 일환으로 단행할 당정개편 조치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관계자들은 15일 "아직 아무 것도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김 대통령은 각계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한 뒤 국회 일정 등을 감안해 결정할 것"이라며 성급한 관측을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오는 18일 만찬으로 예정돼 있는 전직 대통령 및 3부요인 초청 회동, 내주중 열릴 것으로 보이는 이회창(李會昌) 한나라당 총재,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와의 회동 및 민주당 최고위원회의 주재, 각계에서 다양하게 건의된 보고서 등을 토대로 김 대통령이 국정개혁 구상을 정리할 때까지는 모든 것이 유동적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여권 내부에서는 당정개편과 관련, 아이디어 차원을 넘어서는 다양한 안들이 나름의 이유속에 잇따라 제기되고 있고, 이 안들은 보고서의 형태로 김 대통령에게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시기와 폭에 대해서는 대략 3가지 안이 나오고 있다.
먼저 연내 전면개편안이다. 민주당 초선의원과 개혁성향의 인사들이 주로 주장하고 있다. 지금의 민심은 당과 내각의 개편을 시차를 두고 할 상황이 아니며, 연내에 당과 정부의 핵심 인사들을 대거 교체해 연초 새로운 분위기로 국정을 시작해야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사견임을 전제로 "당과 청와대는 동시에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전면개편론은 당의 경우 대표와 당 4역을 전원 교체하고, 내각과 청와대도 상당수 바꿔야 하며, 나아가 '빅4'로 불리는 국무총리, 당 대표, 국정원장, 청와대 비서실장의 전면 교체까지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둘째로는 순차적 개편안이다. 임시국회가 끝난 직후 연말께 당직을 개편하고 시차를 두어 1월초께 내각을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안은 금년말로 예정된 금융.기업 개혁의 1차 평가가 나오는 만큼 이를 토대로 연초에 내각의 경제팀을 포함해 중폭의 개각이 단행돼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마지막으로는 내년 2월말 김 대통령의 집권 4년차가 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팀을 구성해야 한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즉, 당직 개편은 임시국회 직후 해야 하지만 내각 개편의 시기는 상당기간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에는 내년 2월에 4대부문 개혁의 1차 마무리가 이뤄진다는 점이 고려된 것이다.
당직 개편 가운데 당 대표를 누구로 할 것인지를 놓고는 더욱 의견이 나뉜다. 관리형이냐, 실세형이냐, 차기 대권주자냐와 함께 내부냐, 외부냐로 갈리면서 10여명의 후보가 자천 타천으로 거론되는 형국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