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새 大入 '地方 불리'등 문제 많다

입력 2000-12-01 14:03:00

지금의 고교 2년생들이 치르게 될 2002학년도 대학 입시는 대학 자체의 필답고사를 금지하고, 수능 점수를 9개 등급으로 나타내되 전형 기준으로는 최소한만 반영하는 '무시험 전형'이나 근본적인 변화 없이 외형적인 틀만 바꿈으로써 적지 않은 혼란과 부작용이 예상된다.

종전의 수능 성적순의 줄세우기식 전형에서 벗어나 기초학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반영하는 제도라지만 여전히 수능이 중시될 뿐 아니라 오히려 고교들의 학사 관리 혼란, 추천서와 내신성적의 공정성 시비, 대학들의 구술고사와 이에 따른 지방 학생들의 불이익, 신종 과외 극성 가능성 등을 우려하게 한다. 특히 논술과 구술고사 수준의 면접이 중요한 몫을 하게 됨으로써 대학별 구술고사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지방 학생들이 불리해질 가능성이 커진 것은 큰 문제다.

더구나 내년부터는 5월부터 수시모집이 시작되므로 이 때부터 수험생들은 1년 내내 입시 미로를 헤맬 수밖에 없게 될 것이며, 지원 학생들을 어떻게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는 발등의 불이 아닐 수 없다. 이 때문에 벌써부터 일선 고교에서는 진학 지도에 혼선이 빚어지고, 학사 관리도 갈팡질팡이지 않은가.

수시 모집은 수능시험 실시 전에 하므로 고교에서 제출한 평가자료의 비중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내신성적·수행평가·봉사활동·추천서 등을 공정하게 평가할 방안이 강구되지 않으면 안된다. 하지만 과연 무슨 대책을 어떻게 세웠는지 묻고 싶다.

고교들의 내신성적 부풀리기로 성적 인플레가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차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점수화하지 않은 그밖의 자료들에 대한 기술은 또 어느 정도 신뢰해야 할지, '구술 과외' 등 신종 치맛바람이 드세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교육 당국은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담보되도록 철저한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선 교사들도 업무 부담이 커지겠지만 교육자로서의 양심과 사명감을 잊지 말아야만 한다.

입시에서 대학의 자율성이 제한돼 온 것은 공정성에 대한 불신이 주요 원인이기도 했다. 구술고사 등 비점수화 평가자료를 많이 활용해야만 하는 새 입시제도로는 의혹을 낳기 쉽다. 지방 학생들이 불이익을 당하고, 대학들은 정교한 전형 방법을 마련해 공정성과 객관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하며, 교육 당국은 학생들의 적성이나 특기를 살려주는 무시험 전형이 정직한 경우에 오히려 손해보거나 기초학력이 붕괴되는 비교육적 입시제도가 되지 않도록 최선의 길을 찾아야만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