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기침체에도 아랑곳 없이 노래연습장·유흥업소·단란주점 등 유흥업소의 불·탈법행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특히 행정기관이나 경찰은 불·탈법영업 근절을 위한 단속을 미룬 채 주민 신고 등으로 뒤늦게 현장점검에 나서 빈축을 사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관련법규의 개정으로 업무가 경찰서에서 행정기관으로 이관된 노래연습장의 경우 주류판매·윤락알선 등 불·탈법행위가 크게 늘고 있다.
현재 구미지역에는 노래연습장 326개소, 유흥·단란주점 420개소 등 모두 750개 업소가 불황에 고객이 줄자 손님끌기에 혈안이다.
술을 팔지 못하도록 돼 있는 도심지 노래연습장들이 버젓이 술을 파는가 하면 점조직화 된 속칭 '삐삐걸'인 미성년과 주부 접대부를 고용, 퇴폐행위를 일삼고 있다. 그러나 구미시는 올들어 326개 노래연습장 가운데 163개 업소를 단속했으나 등록취소는 고작 4건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경고·과징금 등 처분에 그쳐 겉치레 단속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420개소의 유흥·단란주점 역시 올해 309개 업소에 대해 지도점검했으나 단속된 70개업소 중 허가취소 1건, 영업정지 2건에 그치고 67건은 시정조치를 받았을 뿐이다. 한 민간단체 관계자는 "노래연습장의 관리업무가 경찰에서 구청으로 이관된 이후 불·탈법행위가 부쩍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사전예방 차원에서 단속이 수시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