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채용 홀대받는 지방대 출신

입력 2000-11-20 14:13:00

대학 졸업생 특히 지방대학생 취업문이 좁아져 학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기업퇴출 태풍과 공기업, 금융권의 구조조정, 벤처부도 등 경제위기감과 악재 등이 겹쳐 IMF 체제이후 최악의 취업난을 겪을 전망이기 때문이다. 은행이나 건설업체들은 채용계획이 거의 없다시피한 데다 중소기업마저 신규채용계획을 기피해 대졸 취업자는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예측하고 있어 지방대학 졸업자들의 실업사태는 예고된 상태다.

대구.경북지역은 더욱 심각하다. 주택건설업체들은 연쇄부도로 3년째 공개채용이 한 곳도 없고 하반기 채용계획을 세웠던 상당수 기업들조차 사원모집을 않고 있다. 따라서 5만여명의 대졸예정자들은 사실상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업퇴출 등으로 인한 실업자가 대거 쏟아질 내년 상반기에도 이런 상황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다.

지방대생들의 취업난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서울은 물론 지방기업조차도 서울소재대학 출신자들의 선호가 큰 요인이다. 특히 일부 대기업체들은 대학입학 당시 수능 분포도를 토대로 신입사원 채용대상 학교나 학과를 선정하는 바람에 지방대학생은 추천서 등 응시서류조차 낼 수 없는 실정이고 보면 일자리 얻기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다.

이런 지방대생들의 취업홀대 등을 방지할 입법의 추진을 서둘러야 한다. 지난 9월 교육부 지방대학 육성대책위원회가 마련한 '지방대학 육성 대책안'의 시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방대생들의 가슴을 멍들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취업난을 완화하는 방편으로 대기업이 신입사원 채용에서 지방대생들을 차별하지 않도록 하는 법적인 장치가 바로 그것이다. 몇년째 가칭 '지방대학 육성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을 뿐 실제적인 추진은 없어 이 또한 공염불에 그칠 공산이 커 참으로 답답하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한다. 김대중 대통령은 지난 8일 "지방대학 졸업생들이 취업차별을 받고 있는데 이런 차별이 종식되도록 필요하면 입법을 해서라도 균등한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실행해야 한다. DJ정권은 여러차례 이부분에 약속을 했지만 지금까지 약속이행은 미뤄져 있다. '믿음이 가지 않는 정부'는 민심이반으로도 이어질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일이다.

지방의 인재 등 육성차원에서 지방자치단체나 지방기업체도 지방대생 취업난 해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청년층 실업은 사회전체에 역동감을 상실케 하는 폐해도 가져올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