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8일 금감원 김영재(金暎宰.53) 부원장보(전 대변인)를 전격 연행한 것은 그동안 주변을 맴돌던 검찰의 칼끝이 금감원 로비의혹의 핵심을 겨냥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금까지 금감원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했지만 대부분 전화 통보후 자진출석하면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벌이고 돌려보내는 수순을 밟아왔던데 비해 김씨의 경우 임의동행 형식을 빌리긴 했지만 여의도 금감원 건물에 직접 수사관을 보내 연행해왔다는 점에서 극히 이례적이다.
김씨는 지금까지 검찰에 불려온 금감원 관계자 중 최고위직이다.
따라서 김씨 연행이후 금감원 관계자들에 대한 검찰의 소환방식은 지금까지와는 판이하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이 유일반도체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에 따른 감사 및 대신금고 특별검사와 관련, 석연찮은 경징계 조치가 내려진 경위 조사를 끝내고 뭔가 혐의가 포착된 간부들을 상대로 직접 조사에 들어간 단계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일단 김씨에 대한 검찰의 조사초점은 대변인 겸 조사담당 부원장보 재직시절인올 3월 이전 BW발행 관장부서인 조사총괄국을 지휘하는 결재라인에 있었기 때문에 이른바 '10억원 로비설'과 관련된 의혹에 맞춰져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간의 수사를 통해 유일반도체 장성환 사장이 BW 저가발행에 대한 금감원 조사가 경고조치로 끝난 뒤 김용환(컨설팅업자)-김승희(KDL 전 감사)씨를 거쳐 KDL 정현준 사장에게 액면가 4억원 상당의 BW(시가 14억원)를 건넸고, 정씨는 이를 현금화해 10억원을 이경자 동방금고 부회장에게 로비용으로 준 사실을 밝혀낸 상태다.
검찰은 이씨에게 전달된 10억원이 자살한 장래찬 전 국장을 거쳐 조사총괄국 관계자와 결재선상의 고위간부들에게 흘러들어갔을 가능성과 이씨가 직접 금감원 관계자들을 상대로 금품로비를 벌였을 가능성 등 두갈래로 추적해왔다.
검찰은 또 정현준 한국디지탈라인 사장이 '김씨 부인이 디지탈임팩트 주식에 투자하겠다며 28억원을 송금해왔고 시세가 3배 뛰어 28억원 짜리 당좌수표 3장을 끊어줬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서도 사실여부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가 부인 명의로 지인들의 자금을 모집해 정씨의 사설펀드에 투자하고 손실보전 이면약속을 받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있다.
한편 금감원 고위간부들 중에는 김씨 외에도 당시 금고검사 및 BW발행 업무관련 결재라인에 있던 조사총괄국, 비은행검사1국, 심의제재위원회의 핵심간부들과 김모 전 부원장, 미국으로 출국한 이용근 전 금감원장 등이 수사선상에 올라있는 것으로알려졌다.
이에 따라 김씨 이후 금감원 국장급.부원장보급 이상 간부들이 줄줄이 검찰에 소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