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재해 등 비상시 쓰기 위한 비상급수시설의 절반 가량이 지하수 오염으로 인해 식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환경부가 국회 환경노동위 김락기(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전국의 일일 양수량 100t 이상 비상급수시설 5천358개소 가운데 49.7%인 2천663개소의 수질이 먹는물 기준을 초과했다.
기준초과 비상급수시설중 558개소는 소독을 하면 식수로 사용할 수 있으나 2천76개소는 빨래 등 허드렛물로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돼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일부 비상급수시설은 폐기대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비상급수시설은 한 곳 설치에 약 5천만원 소요된다.
부적합 비상급수시설 비율을 지역별로 보면 인천이 83.1%(575개중 478개)로 가장 높고 서울 81.1%(951개중 771개), 울산 64.5%(155개중 100개), 광주 61.2%(139개중 85개), 대구 56.8%(176개중 100개), 부산 44.7%(722개중 323개) 등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