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공무원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던 인.허가 부서가 '3D 자리'로 전락, 근무기피 움직임이 만연하는 등 공직사회에 기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민원폭주로 일거리가 많은데다 주위로부터 괜한 '의혹의 눈총'을 받지 않으려는 의식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행자부는 지난달 각 시.군.구에 민원처리의 투명성.신속성 등 확보를 위해 지금까지 여러 부서에서 분산 처리해온 건축.농지(산림)전용.환경.공장등록 등 50여종의 인.허가 기능을 1개 부서로 일원화하는 지침을 시달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행정기구 설치 조례안 등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9월에 기구발족과 직원인사를 실시, 10월부터 업무를 시작해야 한다.
경산시의 경우 허가과를 신설키로 하고 공장민원.농지산림.환경민원.주택건축.도시민원 등 5개담당(계)에 26명의 직원들을 배치하는 등 대부분의 시.군이 인.허가 기구를 설치, 인사작업을 준비중이나 해당 공무원들이 기피해 인선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공무원들이 신설부서를 기피하는 이유는 1개담당(계)당 직원 4~6명씩만 배정돼 밀려들 인.허가 민원과 복잡한 업무처리로 격무에 시달려야 될 게 뻔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인.허가를 둘러싸고 사업자와의 금품거래 등 부조리 소지가 상존해 자체 감사는 물론 해당의회, 도, 감사원 등의 감사타깃이 될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종합적인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인.허가부서장(과장)의 임명에 있어서도 기술직 또는 행정직으로 직렬을 복수직화하고 전결권을 줄 방침이어서 향후 전문성과 책임감이 더 요구되는 것도 기피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군관계자는"종전 같으면 직원들이 서로 인.허가 부서에 가기 위해 줄을 대는 등 인사운동을 폈으나 요즘은 일만 덤터기 쓰는 대신 툭하면 감사를 받아야 하는 인.허가부서 근무를 꺼리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경산.金成祐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