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하락기에는 월요일 주식을 사서 수요일에 파는 것이 가장 수익을 올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주가상승기에는 화요일에 주식을 산 뒤 다음주 월요일 파는 것이 수익을 높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4일 증권거래소가 지난 90년부터 올해 7월21일까지 전 상장종목을 대상으로 주가상승기와 하락기 요일별 주가등락을 조사한 결과 주가하락기에는 유일하게 수요일에만 주가가 상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금요일은 보합세였으며 월요일에 평균적으로 가장 주가하락폭이 컸다.
실제로 수요일에는 0.06% 상승했으며 이어 금요일(0.0%), 화요일(-0.08%), 목요일(-0.18%), 월요일(-0.28%) 등 순이었다.
이에 비해 주가상승기에는 월요일에 가장 상승폭이 큰 반면 화요일에만 유일하게 평균적으로 주가가 하락, 결국 화요일에 주식을 산 뒤 다음주 월요일에 매도하면 평균적으로 가장 수익이 높을 것으로 추정됐다.
실제로 월요일에는 평균 0.3% 상승했으며 이어 목요일(0.16%), 수요일(0.08%), 금요일(0.06%), 화요일(-0.03%) 등이었다.
종목별로는 삼성전자의 경우 화요일(1.11%) 가장 상승폭이 큰 반면 목요일(-0.82%) 가장 하락폭이 컸다.
이와 함께 월요일에 특히 상승폭이 큰 종목은 진도, 경농, 동해전장, 풀무원 등이었고 화요일은 미래와사람, 세기상사, 갑을방적, 세원정공 등이었으며 수요일은 삼아알미늄, 대림수산, 고려제강 등이었다.
목요일에는 NSF, 벽산, 삼진제약의 상승폭이 특히 돋보였으며 금요일에는 나자인과 태원물산, LG전자의 상승폭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