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여원을 들여 설치한 간이오수처리장이 걸핏하면 고장나 생활오수가 식수원으로 그대로 유입돼 봉화읍민들이 썩은 물을 마셔야만 한단 말입니까…"
요즘 봉화군 봉화읍 삼계2리 신흥마을 주민들은 입만 열면 청정지역임을 자랑하는 봉화군의 환경정책에 할 말을 잊고 개탄한다. 농촌지역 생활오수 처리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1억7천만원을 들여 설치한 마을 앞 간이오수처리시설이 걸핏하면 고장나기 때문이다.
1억7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한 신흥마을 간이오수처리 시설이 가동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8년 5월부터. 가동이후 지금까지 수차례 기계고장으로 가동중단돼 시공사에서 수리했으나 지난해 겨울 또 다시 고장나 수개월 동안 방치했다(본지 3월22일자 27면보도).
군은 이후 수중모터 등을 교체, 다시 가동했으나 얼마후 재차 가동이 중단돼 '무용지물'이 돼버렸다. 이 시설의 배출구는 내성천으로 나 있으나 그 입구와 주변이 바짝 말라 있어 배출구로 정화처리된 처리수가 흘러 간 흔적은 전혀 찾아 볼 수가 없다. 기계 가동음이 날 때도 처리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다.
주민들은 "막대한 돈을 들인 시설이 도대체 어떻게 되었길래 60여가구가 내보내는 하루 10~20여t의 생활오수 조차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는지 조차 모르겠다"고 이구동성이다.
이 때문에 이곳에서 0.5km쯤 하류에 위치한 8천500여명의 봉화읍민들이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봉화취수장으로 썩은 생활오수가 그대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읍민들의 젖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수리를 해도 얼마 안돼 또 다시 고장과 재가동의 악순환을 하고 있는 농촌지역의 간이오수처리시설. 경북도내에만 300억원의 예산을 들여 145개 마을에 설치한 이 시설들 중 상당수가 고장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봉화·金振萬기자 fact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