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의 육성없이는 인재유출의 가속화 현상은 막을 수 없습니다"대구사회연구소 김형기(경북대 경제통상학부)소장은 인재유출방지를 위한 대안으로 지방대의 육성책을 제시했다.
김 소장은 대학과 산업체와 연구기관을 함께 묶는 이른바 '산.학.연'연계체제를 통해 지역대학의 역할을 증대해야하며 지역대학 육성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비로소 지역을 떠나는 인재들이 되돌아 올 것이라 강조했다.김 소장이 "인재유출의 근본적인 원인은 지역의 좁은 취업문과 수도권에 비해 절대적으로 열세인 봉급, 문화수준의 지역격차 등 사회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인터넷 등 정보화사회 진입도가 빠를수록 중앙과 지방간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 지적한 김 소장은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일수록 정보의 생산주체가 아닌 소비지로 전락해 소득격감 등 지방소외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라 말했다.
김 소장은 또 수도권과 지방간 격차를 줄이기위해서 정보창출 기반이 갖춰져야 하며 이러한 정보창출 기반은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기업과 시민단체 등이 함께 지역 경쟁력 확보노력에 앞장서야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대구.경북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폐쇄성과 보수성의 한계도 창의적이고 개방적이고 진취적 성향의 인재유입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아울러 김 소장은 대구.경북지역이 그간 권력창출지로서 중앙정부 지원에 의지하려는 태도가 적지 않았다며 지역사회가 자활능력을 갖추고 총체적 혁신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대구사회"연구소도 앞으로 지방분권화와 지역혁신을 위해 부산.광주.전주지역 연구단체와 함께 지방분권화를 위한 공동연구와 토론회 등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柳承完기자 ryusw@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