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주식시장은 은행, 증권 등 금융주들이 폭발적인 거래를 보이며 유동성 장세를 예고하는 듯했다. 하지만 거래량 8억주 이상을 기록하며 에너지 과대 분출에 따른 조정양상과 외국인의 선물 매도공세로 하향 반전됐다.
향후 장세를 예측해 볼 수 있는 몇가지 이슈를 점검해보면 첫째 이번 장세를 선도했던 금융주의 추가상승이 가능한지 여부와 둘째 금리하향 안정화로 주식시장으로 추가적인 자금유입, 그리고 장세의 지렛대 역할을 해온 반도체 경기의 지속여부일 것이다.
금융주의 추가상승은 구조조정 여부 및 금융시장 안정화에 따른 금리하향세가 유지돼야 2차랠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 금리하향 안정부분은 정부의 채권 발행물량 조정과 적은 거래량으로 실질적인 하락추세라고 보기 어렵다. 반도체 경기의 전망은 다소 엇갈리면서 미국 증시에서의 반도체 관련 주가의 변동 가능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닥 시장 경우 시장내 주도주 및 주요 매수세력 부재속에서 검찰의 시세조종 혐의발표로 투자심리가 냉각되면서 추세전환이 이뤄지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인 반등세는 나타날 것으로 보이나 실적호전 종목 이외의 종목들은 물량축소가 바람직하다.
이번 주 투자전략으로는 주도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만큼 목표수익률을 낮춰잡는 매매가 돼야 하고 투자는 철저히 반기실적 호전종목 위주로 임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선도주, M&A 관련주, 증권주, 실적호전 기술주 중심의 순환매를 대비한 매매전략이 유효할 듯하다.
박경호 현대증권 상인지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