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성수기를 맞은 요즘 농협이나 농약상에서 구입하는 농약의 종류가 많고 농약 이름의 대부분이 외래어로 표기돼 있어 농민들이 농약선택에 혼선을 빚고 있다.특히 이농현상에 따른 농촌인구의 노령화로 대부분의 농민들이 외래어를 잘 몰라 농약 선택 및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송지역 농민들에 따르면 관내 농협 및 시중 농약상에서 판매되는 살충제의 경우 수도용(후라단, 파단 등 25종), 원예용(DDVP, 데시스 등 55종)과 살균제는 수도용(빕, 키타진 등 27종), 원예용(다코날, 다이센 등 79종)이 있다. 제초제는 수도용(마세트 등 25종), 원예용(그라목숀 등 21종), 생장조절제(40종), 기타(28종) 등 농약 종류가 무려 300여종에 달하고 있다는 것.
또 농약명 대부분이 외래어로 표기돼 있어 농민들이 알아보기 힘들뿐 아니라 용도가 비슷한 종류가 많은데다 가격차도 많아 비슷한 용도의 농약을 싼값에 사 쓰기가 어렵고 농약 선택과 사용 방법 등을 잘 몰라 애를 태우기 일쑤다.
청송.金敬燉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