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에 9월 전당대회 연기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인제 상임고문이 최근 "전당대회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민주적인 정당운영의 틀을 먼저 세워야 한다"고 연기 필요성을 제기한 게 계기가 됐으며 뒤이어 동교동계 측과 차기 대선 주자군(群)을 중심으로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가 일고 있는 것이다.
대표와 지도위원 등으로 구성된 현 지도 체제는 4월 총선을 치르기 위한 임시적인 성격이 강했다. 실제로 지난 1월20일 창당대회를 치렀으나 당헌.당규에 따른 지도부 구성은 9월 전대까지 미루기로 의결했었다.
이와 관련, 청와대와 민주당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직까지 "예정대로 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쪽으로 쏠려 있다. 미뤄야 할 뚜렷한 이유가 없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여권 내부적으론 가능하면 연기하자는 기류도 확산되고 있다.
지도체제 구성 방식을 보면 배경의 일단을 포착할 수있다. 즉 전당대회를 통해 당 지도부는 대표 1인과 최고위원 7~10인으로 구성되는데 문제는 최고 위원들을 경선을 통해 선출하고 대표는 이들 중에서 대통령이 지명하게 돼 있다는 점에 있다. 결국 대표와 최고위원 쪽에 상당한 힘이 실리게 된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될 경우 자칫 여권의 후계 구도가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으며 역으로 권력 누수도 그만큼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우려는 주로 청와대 측과 당내 실세그룹인 동교동계 측에서 들리고 있다. 때문에 이들 중 일부에선 전대를 아예 내년초로 미루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차기 주자군으로 꼽히는 인사들도 당내 기반 등을 제대로 다질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낙선 인사들의 경우 그 충격에서 벗어나는 게 시급하며 비주류의 경우 경선에 대비, 전열 재정비에 주력해야 할 처지이다. 이 고문 역시 조기에 당권 도전에 나서면 당내 견제와 반발 등 역풍에 휩싸일 수 있다는 계산도 하고 있을 것이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