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에 제55회 식목일을 맞게 됐지만 식목일 풍속도가 급변하고 있다.근년에는 식목일 하면 산림관계부서나 녹지조성에 관심이 있는 몇몇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하면 '식목일-쉬는날'로 인식하는 정도로까지 퇴색되어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정부 각 기관.단체와 시민들로 하여금 모두가 산에 가서 나무심는데 동참하자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 각 기간.단체 소유의 산이나 직장과 가정이 뜰에 꽃이나 나무 한 그루 심어 가꾸는 성의를 가져주고, 산불예방에 동참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몇년전 한 부대의 사령관으로부터 '우리 군이 식목일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강의해 달라는 청탁을 받았다. 필자는 그들에게 '본래의 의무인 국토방위에 전념할 것과 식목일을 전후해 부대 주위의 산천이나 공지에 꽃과 나무를 심어 가꾸는 것이 적극적인 참여방법이 될 것이다'라고 강의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 그 부대는 막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한 숲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한 예로 식목일날 시민 몇명이 괭이를 들고 버스를 탔는데 버스 기사분이 "왜 괭이를 가지고 타십니까?"라는 질문을 했다. 그 시민이 식목일 행사에 나무심으러 간다고 대답하자 기사분이 "나는 바빠서 못 가니 내 몫까지 심어주십시오"라며 차비를 받지 않았다는 일화가 있다.
새천년 식목일에는 이 버스 기사분과 한 사령관의 깊은 뜻을 실천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식목일을 '경찰의 날'행사 때처럼 나무를 열심히 심고 가꾸는 분들이나 일선종사자들에게 각종 훈장을 비롯, 푸짐한 상을 베풀수 있는 '식목축제의 날(가칭)'로 승화시키는 것 또한 새천년 식목일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이 될수 있지 않을까?
필자가 이토록 시민들의 동참을 호소하는 이유는 나무를 심어 가꾸는 혜택이 산주들뿐만 아니라 온 국민들이 향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계에서 산지자원화와 녹지조성이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없이는 성공한 예가 없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