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진흥원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동원해 전국 주요 사찰의 편액과 주련을 집대성하고 그 뜻과 조성연대, 글쓴 이, 글씨 평 등을 곁들인 '한국 사찰의 편액과 주련'을 펴냈다.
서예.전각가 권창륜(權昌倫), 김양동(金洋東), 여원구(呂元九), 서예가 김응현(金膺顯), 통도사 성보박물관장 범하(梵河), 동국대 역경원장 월운(月雲)스님,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장 홍윤식(洪潤植)씨 등 편찬위원과 고일지(高一指) 한국불교인문학연구원장을 비롯한 자료조사 및 집필위원이 전국 1천200여 사찰을 대상으로 3년간 조사작업을 벌여 작품을 골랐다.
상.하권 1천100쪽에 200여 사찰의 편액 2천여개와 주련 300여개를 담았고 '가람의 구조와 편액의 의미', '사찰 편액과 주련의 서예사적 고찰' 등 논문도 실었다.부록에는 필자 해설, 당우 해설, 주련 원문 풀이, 주련 출전 해설, 주련 난해어해설, 게재 사찰 색인 등을 수록했다.
사찰에서 편액의 의미를 잘 보여주는 사례는 양산 통도사의 대웅전. 뒷면을 제외한 세 방면에 각각 편액이 걸려 있다.
전면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오른쪽의 '적멸보궁(寂滅寶宮)'은 통도사에 주석했던 구하(九河) 스님의 글씨고 왼쪽의 '대웅전(大雄殿)'은 석봉체(石峰體)의 진수를 보여준다.
해당 전각에 모신 불보살의 중심사상을 시문으로 표현하거나 고승 법어의 한 대목을 써놓은 주련의 의미를 새겨보는 것도 의미가 깊다.
출전은 '석문의범(釋門儀範)' '화엄경(華嚴經)' '나옹집(懶翁集)' '벽암록(碧巖錄)' '전등록(傳燈錄)' 등으로 다양하며 합천 해인사 퇴설당처럼 경허(鏡虛)선사가 자작한 경우도 있다. 鄭昌龍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