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처리문제가 여야 3당의 당리당략에 휩쓸려 계속 지연되면서 공천심사 등 각 당의 총선준비 작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중앙선관위 측도 구체적인 선거관리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는 등 혼선에 빠져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일부 통합예상 선거구에선 출마 희망자들간에 공천경쟁이 과열되고 있으며 상호비방과 금품살포 등의 혼탁 양상으로 까지 치닫고 있다.
게다가 선거법 협상이 출마예정 공직자들의 사퇴 시한인 오는 12일까지 매듭지어지지 않을 경우 위헌시비까지 초래할 수 있다.
민주당 측은 당초 설연휴 직후인 8일부터 공모자 등을 대상으로 공천심사를 본격화, 이달 중순까지 전 지역에서 조직책 선정을 완료한 뒤 총선체제에 돌입키로 했으나 협상지연에 따라 일정을 재조정하고 있다. 즉 선거구획정위 측의 선거구 조정안에 따라 통합될 선거구는 일단 배제, 나머지 지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공천키로 했다. 논란 지역에 대해 공천자를 미리 발표하게 될 경우 선거법 처리과정에서 거센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자민련 역시 7일부터 착수키로 했던 공천심사 일정을 15일 이한동 총재권한대행을 총재로 선출하기 위한 당 중앙위 행사 뒤로 늦춰 잡고 있다. 그러나 당내 다수 의원들은 설연휴 표밭갈이를 위해 선거법 처리 이전이라도 공천문제를 매듭지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한나라당도 이번 주말까지 공천자 명단의 가닥을 잡으려고 했으나 일주일 정도 연기키로 한 가운데 선거법 협상과 관련, 문제의 소지가 없는 지역부터 조직책을 선정해 나가기로 했다.
같은 맥락에서 지구당 개편대회를 통한 이회창 총재의 지방 세몰이 행사도 순연될 수 밖에 없다.
중앙선관위의 경우 선거구 획정에 따른 시.군.구 선관위 구성 및 투표소 설치작업에 착수해야 하지만 아직 손을 못대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1인2표제 등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면 세부적인 시행규칙 마련은 물론 추경예산 편성 등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徐奉大기자